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우산사양[牛山斜陽] 제 경공(齊景公)의 고사를 말한 것. 제 나라 경공이 우산(牛山)에 올랐다가 해가 서산에 지자 북으로 제(齊)를 바라보며 이르기를 “아름답구나, 저 나라가! 만약 옛날부터 사람이 죽지 않는 존재였다면 과인(寡人)이 무슨 수로 저 나라를 차지했으랴. 그러나 과인은 장차 저것을 버리고 어디로 갈 것이란 말인가.”라 하고, 엎드려서 옷깃이 젖도록 울었다고 한다. <漢詩外傳 卷十>
❏ 우산석휘비[牛山夕暉悲] 제(齊) 나라 경공(景公)이 북쪽으로 도성을 바라보고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기를 “그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곳을 떠나 죽어갔는가.”라고 하자, 곁에 있던 예공(艾孔)과 양구거(梁丘據)는 따라 우는데, 안자(晏子)만은 홀로 웃고 있었다. 이에 경공이 질책하며 까닭을 묻자, 안자가 말하기를 “가령 어진 이가 항상 이 곳을 지켜 왔다면 태공(太公)과 환공(桓公)이 계속 이 곳을 지킬 것이고, 가령 용감한 이가 항상 이 곳을 지켜왔다면 장공(莊公)과 영공(靈公)이 항상 이 곳을 지키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임금들이 줄곧 이곳을 지킨다면 우리 임금께서 여기 이 자리에 오를 수 있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한다.
❏ 우산성리[雨散星離] 옛날에는 서로들 만났다가 금방 헤어지곤 하여 친하게 지낼 틈이 없었다는 말이다. 이백(李白)의 시에 “잔치 자리 우리 의기 하늘을 찔렀는데, 빗발처럼 유성처럼 아침도 못 가서 헤어졌네.[當筵意氣凌九霄 星離雨散不終朝]”라는 구절이 나온다. <李太白集 卷12 憶舊遊寄譙郡元參軍>
❏ 우산운비[雨散雲飛] 남녀간에 서로 좋아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우상[羽觴] 새 깃 모양으로 된 술잔이다.
❏ 우상[虞庠] 예기(禮記) 왕제(王制)에 “주(周) 나라 사람은 서민(庶民)의 늙은이를 우상에서 봉양한다.”라고 하였는데, 그 주에 “우상은 소학(小學)이다.”라고 하였다.
❏ 우상[虞庠] 예기(禮記) 왕제(王制)에 “주인(周人)은 국로(國老)를 동교(東膠)에서 기르고, 서로(庶老)를 우상(虞庠)에서 기르는데, 우상은 주(周)의 서교(西郊)에 있다.”라 하였고, 그 주에 “우상도 역시 소학(小學)이다.”라고 하였다.
❏ 우상수파[羽觴隨波] 옛날 술 마시는 풍속에 유상곡수(流觴曲水)라는 것이 있는데, 물굽이를 만들어 놓고 둘러앉아 잔을 물에 띄워서 잔이 물결 따라 흘러가는 대로 차례로 마시는 것인데, 잔에 깃을 다는 것을 우상(羽觴)이라 하며 새처럼 빨리 가라는 뜻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열난분[優劣難分]~우예[虞芮]~우오급계[愚汚及溪]~우외[隅隈] (0) | 2020.03.04 |
---|---|
우야대상[雨夜對床]~우양견시[牛羊犬豕]~우양침줄[牛羊侵茁]~우어[鰅漁]~우연[虞淵] (0) | 2020.03.03 |
우식곡[憂息曲]~우신행[于愼行]~우심자[牛心炙]~우악양망[憂樂兩忘] (0) | 2020.03.02 |
우수[愚叟]~우수마발[牛溲馬渤]~우순풍조[雨順風調]~우슬[竽瑟] (0) | 2020.02.28 |
우서[羽書]~우선[藕船]~우선[于仙]~우선윤건[羽扇綸巾] (0) | 2020.02.27 |
우산[禺山]~우산[羽山]~우산[虞山]~우산루[牛山淚] (0) | 2020.02.25 |
우사[雨師]~우사[虞師]~우사[右史]~우사생풍[遇事生風] (0) | 2020.02.24 |
우부우부[愚夫愚婦]~우불[吁咈]~우불출두[牛不出頭]~우비[禹碑] (0) | 2020.02.21 |
우발화[優鉢花]~우번기[虞翻棄]~우보상[羽葆桑]~우복서정[牛腹書呈] (0) | 2020.02.20 |
우묵하전[雨墨霞箋]~우문고대[于門高大]~우미인초[虞美人草] (0) | 2020.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