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옥려[玉廬]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비강(鼻腔)이다. 콧속.

옥력[玉曆] 옥력은 책력의 별칭이다.

옥련[玉輦] 옥련은 임금의 수레를 말한다.

옥련환[玉連環] 송 나라 풍애자(馮艾子)가 지은 사패(詞牌)의 이름으로,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것이다. 그 가사 첫 구절에 적선은 떠났는데 그 당시의 술자리 벗들은 이제 누가 남았는고[謫仙往矣 問當年飮中儔侶 於今誰在]”라고 하였다. <詞律拾遺 卷五>

옥련환체[玉聯環體] 앞시의 마지막 끝 글자를 다음 시의 첫 글자로 하여 짓는 시를 말하는데, 회문시(廻文詩)라고도 하며, 시구(詩句)별로 글자를 따서 쓰기도 한다. 본시에서는 첫 시구의 끝 글자가 유()이고 다음 시구의 첫 글자가 심()인데, 이는 유() 자의 아랫부분을 따서 쓴 것이고, 다음 시구의 끝 글자가 수()이고 그 다음 시구의 첫 글자가 월()인데, 이는 수() 자에서 월()을 딴 것으로, 계속해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글자를 따서 썼다.

옥로[玉輅] 옥으로 장식한 임금의 수레이다.

옥로남순[玉輅南巡] 옥로는 천자가 타는 수레를 이른 것으로, () 임금이 남쪽으로 순수(巡狩)를 나갔다가 창오(蒼梧)의 들에서 붕어했던 일을 가리킨 말이다.

옥롱송[玉瓏鬆] 꽃 이름이다. () 나라 원호문(元好問)의 유천단잡시(遊天壇雜詩)비록 사화의 향기가 좋다고 하지만 나는 그중에 옥롱송을 가장 사랑한다오.[縱道楂花香氣好 就中偏愛玉瓏鬆]”라 하였는데, 그 자주(自注)에서 옥롱송을 꽃 이름이라고 하였다.

옥룡린갑[玉龍鱗甲] 옥룡(玉龍)은 눈을 비유하는 시적 표현이다. () 나라 장원(張元)의 시 ()’싸움에 진 옥룡 삼백만 마리, 갑옷 비늘 하늘 가득 날려서 떨어지네.[戰退玉龍三百萬 敗鱗殘甲萬空飛]”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