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옥견뢰[玉堅牢] 소식(蘇軾)의 눈[]을 읊은 시에 어차피 단단한 옥이 되지는 못 할테니, 잠시 잠깐의 꽃이나 피우는 게 어떠랴.”라 하였다.

옥결[玉玦] 갈라진 틈새가 있는 패옥으로, 파직 혹은 좌천을 뜻하는 말로 간언(諫言)을 했다가 임금의 노여움을 받아 조정에서 축출된 것을 말한다. 의례(儀禮) 상복전 소(喪服傳疏)세 번 간()했는데도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지경(地境)에 가서 처분을 기다리는데, 고리가 다 이어진 환()을 받으면 조정으로 돌아오고 고리가 끊어진 결()을 받으면 조정 밖으로 나간다.”라고 하였다.

옥경[玉京] 백옥경(白玉京)의 준말로, 도교(道敎)에서 말하는 천제(天帝)의 거소(居所)인데, 보통 황제의 도성을 가리킨다.

옥경군제[玉京羣帝] 옥경은 천상(天上)을 말함이니 즉 천상의 뭇 임금이란 뜻이다.

옥경대[玉鏡臺] 결혼을 뜻하는 말이다. () 나라 온교(溫嶠)가 유총(劉聰)을 정벌하고 얻은 물건으로 결혼할 때에 옥경대를 예물로 삼았다 한다. <世說新語 假譎>

옥계원[玉階怨] 궁인의 원사를 읊은 시로 전문은 다음과 같다. “玉階生白露 夜久侵羅襪 却下水晶簾 玲瓏望秋月

옥골선풍[玉骨仙風] 옥과 같은 골격(骨格)과 선인(仙人)과 같은 풍채(風采). , 뛰어난 풍채와 골격을 이른다.

옥관양생보력개[玉琯陽生寶曆開] 동지일(冬至日)을 뜻한다. 옥관(玉琯)은 음률(音律)을 정하기 위해 만든 옛날 악기 이름이다. 절기(節氣)를 미리 예측하기 위하여 율관(律管) 안에 각각 재를 담아 놓는데, 일양(一陽)이 시생(始生)하는 동지가 되면 황종(黃鍾)의 율()이 응한다고 한다. 보력(寶曆)은 책력(冊曆)으로, 이날 중국 조정에서 만방에 이를 반포하였다.

옥교[玉橋] 아름다운 돌로 만든 다리. 주로 대궐 안 시내에 걸린 다리를 의미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