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오화[烏靴] 관원이 신던 흑색 신발을 말한다.
❏ 오화[五花] 당 나라 때에 국가의 중요한 사건에는 중서사인(中書舍人) 여러 사람이 각각 소견대로 서명(署名)하므로 그것을 오화판사(五花判事)라 하였다.
❏ 오화[五花] 당나라 때에 여러 재상이 함께 결재할 것에 서명(署名)하는데, 글자의 모양이 꽃처럼 되었으므로 이를 오화판사(五花判事)라 한다.
❏ 오화[五花] 오화마(五花馬)의 준말로, 청색(靑色)・백색(白色) 등의 반문(斑文)이 있는 말을 가리킨다.
❏ 오화[五花] 당(唐) 나라 때 말갈기를 세 갈래로 잘라 만든 것은 삼화(三花), 다섯 갈래로 잘라 만든 것은 오화(五花)라고 하였다. 일설에는 말의 털 색깔이 얼룩얼룩한 것을 오화마라고 한다.
❏ 오화[五花] 중서사인(中書舍人)의 별칭. 당(唐) 나라 때 중서성(中書省)에 군국왕사(軍國王事)가 있으면, 중서사인들이 각각 자기의 소견을 가지고 이것저것 적어서 제출하여, 그것을 오화판사(五花判事)라 하였다. <職林>
❏ 오화전[五花甎] 오화전은 오색 꽃무늬를 새긴 벽돌로, 그것을 깔아놓은 대궐 뜰을 가리킨다.
❏ 오화총[五花驄] 말의 갈기털을 다섯 잎 꽃무늬 모양으로 다듬어서 장식한 말이다.
❏ 오회[寤懷] 깨어나 근심하다.
❏ 오회[吳會] 오군(吳郡)과 회계군(會稽郡)을 연칭(連稱)하여 오회라 하는데, 본디 오군 송강(淞江)의 농어가 유명하다.
❏ 오회[吳回] 오회가 육종을 낳고 육종이 여섯 아들을 부인의 옆구리를 갈라 낳게 하였다. 장남을 곤오(昆吾)라 하고 이남을 삼호(參胡), 삼남은 팽조(彭祖), 사남은 회인(會人), 오남은 조성(曹姓)이고 여섯 번째는 계련(季連)인 미성(羋姓)이었는데 이가 초나라의 선조이다.
❏ 오회[五會] 인체에 병근(病根)이 잠복할 수 있는 다섯 곳의 명칭으로 백회(百會), 흉회(胸會), 청회(聽會), 기회(氣會), 노회(臑會)를 말한다.
❏ 오회장한흥[吳會張翰興] 물고기를 잡아 회를 쳐서 먹는 즐거움을 말한다. 오회(吳會)는 중국 회계군(會稽郡)의 오현(吳縣)과 회현(會縣)의 병칭이다.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낙양(洛陽)에 들어가서 동조연(東曹掾) 벼슬을 하다가,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고향인 오중(吳中)의 순채국과 농어회[鱸魚膾] 생각이 나서 곧장 사직하고 돌아간 고사가 있다. <晉書 卷92>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구[玉鉤]~옥구녹로[玉具鹿盧]~옥국[玉局]~옥급[玉笈] (0) | 2019.08.23 |
---|---|
옥결[玉玦]~옥경[玉京]~옥경대[玉鏡臺]~옥골선풍[玉骨仙風] (0) | 2019.08.22 |
옥가[玉珂]~옥갑[玉匣]~옥검[獄劍]~옥검조궁[玉劍琱弓] (0) | 2019.08.21 |
오훈[五葷]~오훼[烏喙]~오흥[吳興]~오흥법[吳興法]~오희가[五噫歌] (0) | 2019.08.20 |
오획[烏獲]~오후[五侯]~오후정[五侯鯖]~오후청[五侯鯖] (0) | 2019.08.19 |
오호[烏號]~오호[五湖]~오호도[嗚呼島]~오호춘[五湖春] (0) | 2019.08.13 |
오한[敖罕]~오합지중[烏合之衆]~오현금[五絃琴]~오형[五刑] (0) | 2019.08.12 |
오패[五伯]~오포[烏哺]~오풍십우[五風十雨]~오피[伍被]~오피궤[烏皮几] (0) | 2019.08.09 |
오쾌[伍噲]~오타운[五朶雲]~오토[於菟]~오투육[烏偸肉] (0) | 2019.08.05 |
오초칠국란[吳楚七國亂]~오총구[五總龜]~오출빙[五出氷]~오칠[烏漆] (0) | 201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