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옛날, 벼슬이름.

영가[永嘉] 남조 송(南朝宋) 때 사령운(謝靈運)이 영가태수(永嘉太守)로 나갔을 적에 영가군에는 이름난 산수가 많았으므로, 사령운이 산수를 대단히 좋아하여 여러 현()을 두루 돌아다니면서 마음껏 완상하고 가는 곳마다 시()를 읊곤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宋書 卷六十七>

영가[永嘉] 복주(福州)영가(永嘉)는 모두 안동(安東)의 고호(古號)이다.

영가[永嘉] 진 회제(晉懷帝)의 연호이다.

영가[嬴家] 진시황(秦始皇)의 성()이 영씨(嬴氏), 즉 진() 나라를 지칭한 말이다.

영가납극개족도[永嘉蠟屐豈足道] 선불교(禪佛敎)에서 말하는 깨달음 같은 것은 거론할 것도 없다는 말이다. () 나라 영가(永嘉)의 현각선사(玄覺禪師)가 조계(曹溪)의 육조대사(六祖大師)를 만나 언하(言下)에 계오(契悟)하고 하룻밤을 묵은 뒤 떠나갔으므로 당시에 일숙각(一宿覺)이라고 불렀다는 고사가 전해 온다. <傳燈錄 卷5宋高僧傳 卷8>

영가산수[永嘉山水] 남조(南朝) ()의 문인 사영운(謝靈運)이 좌천되어 영가 태수(永嘉太守)로 내려간 뒤 산수 좋은 석문산(石門山)에서 시를 지으며 오유(遨遊)했던 고사가 있다.<宋書 卷67> 참고로 이백(李白)의 시에 康樂上官去 永嘉遊石門이라는 구절이 있다. <李太白集 卷19 與周剛 淸溪玉鏡潭宴別>

영각[鈴閣] 한림원 혹은 장수나 지방 장관이 집무하는 곳을 말한다. 영헌(鈴軒)과 같은 말로 지방 수령이 집무하는 관청을 이른다.

영갑[令甲] 영갑은 법령(法令)의 제일장(第一章)을 이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