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영객가[郢客歌] 따라 부르기 힘든 상대방의 고아(高雅)한 노래를 말한다. 영(郢)은 초(楚) 나라의 수도로, 그곳에서 불리워지는 양춘백설곡(陽春白雪曲) 등은 겨우 수십 명밖에 따라 부르지 못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 영견조이불면[嬰罥組而不免] 패공(沛公) 유방(劉邦)이 진 나라에 쳐들어가니, 진왕(秦王) 자영(子嬰)이 옥쇄를 가지고 목에다 끈을 매고 패상(覇上)에 나와 항복하였더니, 뒷날 항우가 들어가서 자영을 죽였다.
❏ 영겸[盈謙] 주역(周易) 겸괘(謙卦)에 “천도(天道)는 영(盈)한 것을 손(損)하고 겸(謙)한 것을 익(益)하게 하여 주며, 귀신(鬼神)은 영(盈)한 것을 해(害)하고 겸(謙)한 것은 복을 주며, 인도(人道)는 영(盈)한 것을 미워하며, 겸(謙)한 것을 좋아한다.”라고 하였다.
❏ 영계[盈戒] 송 나라 소이간(蘇易簡)이 임금에게 아뢰기를 “물이 그릇에 가득 차면 엎질러지는 것이니 폐하(陛下)께서는 찬 그릇을 들 듯 조심하소서.”라고 하였다.
❏ 영계기[榮啓期] 춘추 시대 사람으로, 공자(孔子)가 태산(泰山)에서 영계기(榮啓期)가 녹구(鹿裘)를 입고 새끼 두르고 거문고를 타며 노래하는 것을 보고 무엇이 그리 즐거우냐고 물으니 대답하기를 “하늘이 만물을 내매 사람이 가장 귀한데 내가 사람이 되었으니 한 가지 낙이고, 남자는 귀하고 여자는 천한데 내가 남자가 되었으니 두 가지 낙이고, 사람이 나서 일월을 보지 못하고 강보에서 죽는 자가 많은데 내 나이 90이니 이것이 세 가지 낙이다.”라고 하였다. <列子 天瑞>
❏ 영계삼락[榮啓三樂] 영계는 춘추시대 은사 영계기(榮啓期)이다. 영계기가 사슴갖옷에다 풀잎으로 꼬은 띠를 띤 초라한 행색으로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부르다가 공자(孔子)가 선생의 즐거움은 무엇이냐고 묻자, 대답하기를 “하늘이 낳은 만물중에 사람이 가장 귀한데 나는 이미 사람이 되었으니 이것이 하나의 즐거움이고, 남녀가 구분되어 남자는 높고 여자는 낮은데 나는 남자가 되었으니 이것이 두 번째 즐거움이고, 사람이 태어나 강보를 면치 못하고 죽는 자도 있는데 내 나이는 지금 90살이니 이것이 세 번째 즐거움입니다. 가난은 선비의 떳떳한 도이고 죽음은 인생의 끝인 것이니 내가 무엇을 걱정하겠습니까.”라고 하였다 한다. <列子 天端>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랑술랑[永郞述郞]~영려상승[嬴呂相承]~영령성악강[英靈星岳降] (0) | 2019.03.18 |
---|---|
영근[郢斤]~영단양주[靈丹良疇]~영대[靈臺]~영대영소[靈臺靈沼] (0) | 2019.03.11 |
영균구가[靈均九歌]~영균손국[靈均飱菊]~영균철패[靈均綴佩] (0) | 2019.03.04 |
영광[靈光]~영구[靈龜]~영구[營丘]~영구사퇴고[寧久事推敲] (0) | 2019.02.25 |
영고반[詠考槃]~영과[靈瓜]~영과행험[盈科行險]~영관[伶官] (0) | 2019.02.18 |
영가[永嘉]~영가산수[永嘉山水]~영각[鈴閣] (0) | 2019.02.07 |
엽고[獵鼓]~엽공지룡[葉公之龍]~엽교[獵較] (0) | 2019.01.28 |
염한[染翰]~염화미소[拈華微笑]~염황[炎黃]~엽각[獵較] (0) | 2019.01.21 |
염차광생[厭次狂生]~염촉사인[厭髑舍人]~염파복고의[廉頗伏高義] (0) | 2019.01.14 |
염절[廉折]~염주[炎洲]~염지[染指]~염진[炎塵] (0) | 2019.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