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야합[野合] 예를 갖추지 않은 결합(혼인). 정치적으로 쓰일 때는 저속한 욕망을 이루기 위해 서로 손잡는 일을 일컫는다.
❏ 야행론[夜行論] 벼슬에서 물러설 만한 때가 되어도 눌러앉아 있음을 비난한 것이다. 삼국 시대 때 위(魏) 나라 전예(田豫)는 벼슬을 사양하면서 “70이 넘은 나이로 벼슬자리에 붙어 있는 것은 통행을 금하는 시각을 알린 뒤까지 쉬지 않고 밤에 돌아다니는 것과 같으니 이는 죄인이다.”라고 하였다. <三國志 卷二十六 田豫傳>
❏ 야허[邪許] 힘을 내기 위해 부르는 소리. 여우(與謣)·우여(謣與)도 같은 뜻이다. 회남자(淮南子) 도응훈(道應訓) 편에 “책전(翟煎)이 양 혜왕(梁惠王)을 만나, 무릇 큰 나무를 드는 자는 앞에서 야허(邪許)라고 부르면 뒤에서도 또한 응답한다.”라 하였다.
❏ 야호[野狐] 송(宋) 원회(元懷)의 무장록(撫掌錄)에 “섭도(葉濤)가 바둑을 좋아함에 왕개보(王介甫)가 시를 지어 준절히 꾸짖었으나 끝내 그만두지 않았다. 바둑 두는 자가 흔히 일을 폐하여 대개 다 업을 잃게 되므로 사람들이 바둑판을 지목하여 목야호(木野狐)라 했다.”라고 하였다.
❏ 야호기[夜呼祈] 기(祈)는 동진(東晉) 때의 은사(隱士)인 기가(祈嘉)를 가리킨다. 기가가 젊어서 청빈(淸貧)하고 학문을 좋아했는데 나이 20여 세 되었을 때 밤중에 갑자기 누가 창문에서 그를 불러 “기공빈(祈孔賓 : 공빈은 기가의 자) 기공빈, 빨리 숨어라 빨리 숨어라. 세상에 나가면 소득은 털끝만도 못하고 잃는 것만 태산같이 클 것이다.”라 하므로 아침에 그대로 서쪽으로 도망하여 돈황(敦煌)에 가서 학사(學舍)에 들어가 글만 읽었는데, 뒤에 경전(經傳)을 널리 통하여 큰 학자가 되었고 문인(門人)이 2천여 명이나 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끝내 세상에 나가지 않았고, 오래 수를 누렸다. <晉書 卷九十四 隱逸傳>
❏ 야호선[野狐禪] 불교에서 선학(禪學)을 닦아 아직 증오(證悟)하지 못한 사람이 이미 증오하였다고 자만하는 것을 욕하는 말이다.
❏ 야호선[野狐禪] 선가(禪家)의 용어로 외도(外道)를 칭한다. 소식의 시에 “何似東坡鐵柱杖 一時驚起野狐禪”이라 하였다.
❏ 야호외도[野狐外道] 선학(禪學)을 닦아 증득하지도 못했으면서 아는 체하며 자만심을 내는 자를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식[弱植]~약야녀[若耶女]~약예[約禮] (0) | 2017.04.18 |
---|---|
약석거망전[藥石詎忘筌]~약석충언[藥石忠言]~약수삼산[弱水三山] (0) | 2017.04.17 |
약목[若木]~약방감초[藥房甘草]~약상[弱喪] (0) | 2017.04.14 |
약란[藥欄]~약립사의[蒻笠簑衣]~약마유강[躍馬猶强] (0) | 2017.04.13 |
약가[藥加]~약관[弱冠]~약군신[藥君臣] (0) | 2017.04.12 |
야전황작행[野田黃雀行]~야학불장주[夜壑不藏舟]~야학주[夜壑舟] (0) | 2017.04.10 |
야유귀[揶揄鬼]~야은[冶隱]~야장하설본비고[冶長荷絏本非辜] (0) | 2017.04.07 |
야설회선[夜雪回船]~야와부수[夜臥覆首]~야운거사[野雲居士] (0) | 2017.04.06 |
야도낭[夜度娘] ~야반유성[夜半踰城]~야반학이주[夜半壑移舟] (0) | 2017.04.05 |
야계녀[耶溪女]~야기[夜氣]~야기잠[夜氣箴] (0) | 2017.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