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아사[餓死] 주 무왕(周武王)이 은(殷) 나라를 평정하자 은 나라의 충신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의리상 주 나라의 곡식을 먹을 수 없다며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다가 죽은 일을 말한다. <史記 伯夷傳>
❏ 아사고인획아심[我思古人獲我心] 시경(詩經) 녹의(綠衣)에 버림받은 자기의 처지를 하소연하며 “내가 고인을 생각하니 실로 내 마음을 알았도다.”라고 하였다.
❏ 아사리[阿闍梨] 제자의 행위를 교정하며 그의 사표가 되어 지도하는 큰 스님을 이른다.
❏ 아상복[迓祥服] 가흥청(假興淸; 운평에서 승급된 자)·운평(運平; 기생의 개칭) 등이 입던 의복이다.
❏ 아성분월기[俄成奔月期] 사람이 죽는 것을 이른다. 회남자(淮南子) 전람훈(展覽訓)의 “항아(姮娥)가 불사약(不死藥)을 먹고 월궁으로 도망가서 월정(月精)이 되었다.”는 전설에서 나온 말이다.
❏ 아세[亞歲] 설에 다음 간다는 뜻으로 동지(冬至)를 말한다. 서호유람지(西湖遊覽志)에 “동지를 아세라 하니 관민(官民)이 다같이 설날처럼 경축한다.”라고 하였다.
❏ 아손유홀역만상[兒孫有笏亦滿床] 벼슬을 많이 한 집에서는 홀(笏)을 상(床)에다 쌓으면 상이 가득하다 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참[衙參]~아축[阿丑]~아치고절[雅致高節] (0) | 2017.01.23 |
---|---|
아읍[阿邑]~아전인수[我田引水]~아집도[雅集圖] (0) | 2017.01.20 |
아여하증동일포[我與何曾同一飽]~아유구용[阿諛苟容]~아융담[阿戎談] (0) | 2017.01.19 |
아양[峨洋]~아양귀상음[峩洋貴賞音]~아양수화절현금[峩洋誰和絶絃琴] (0) | 2017.01.18 |
아수라장[阿修羅場]~아승지추녀[阿承之醜女]~아아양양[峨峨洋洋] (0) | 2017.01.17 |
아부영[亞夫營]~아불멸[我不滅]~아비규환[阿鼻叫喚] (0) | 2017.01.13 |
아박수[兒拍手]~아배각[兒輩覺]~아부견와[亞夫堅臥] (0) | 2017.01.12 |
아매[阿每]~아미가필[蛾眉呵筆]~아미반[蛾眉班] (0) | 2017.01.11 |
아라길[阿剌吉]~아롱서생[鵝籠書生]~아만[阿瞞] (0) | 2017.01.10 |
아도[阿堵]~아도[阿道]~아동호석탕[兒童呼蜥蝪] (0) | 201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