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신서[神荼] 신서는 악귀(惡鬼)를 물리치는 신(神). 산해경(山海經)에 “창해(滄海)의 도삭산(度朔山)에 큰 복숭아나무가 있는데 동북쪽으로 뻗은 가지를 귀문(鬼門)이라 하여 모든 귀신들이 이곳으로 출입하며, 이 위에 신서(神荼)·울률(鬱壘)이라 하는 두 신이 있어 나쁜 귀신을 잡아서 호랑이에게 먹인다.”라고 하였다.
❏ 신서[新書] 병서(兵書)를 뜻한다. 삼국 시대 촉(蜀) 나라의 제갈량(諸葛亮)이 지은 신서(新書)와 명(明) 나라 척계광(戚繼光)이 지은 기효신서(紀效新書) 등 병서가 있다.
❏ 신서[信書] 오활하여 세속과 분합하지 못함을 뜻한다. 맹자(孟子)가 이르기를 “글을 쓰인 그대로 다 믿는다면 차라리 글이 없는 것만 못하다.”라고 하였다. <孟子 盡心下>
❏ 신선굴[神仙窟] 관각(館閣)을 가리키는 시어(詩語)이다. 당 태종(唐太宗)이 영주(瀛洲)라는 문학관(文學館)을 설치하고 두여회(杜如晦), 방현령(房玄齡) 등 십팔학사(十八學士)를 우대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 신성[晨省] 이른 아침에 부모의 침소에 가서 밤새의 안후를 살핌을 말한다.
❏ 신손[神孫] 왕위를 계승하는 자손을 높여서 성자(聖子)·신손(神孫)이라 칭한다.
❏ 신수화지[神水華池] 도가서(道家書)의 양생술에서 신체의 각 수분 분필의 조절을 비유로 말한 은어(隱語)들이다.
❏ 신숙중[辛叔重] 신숙중은 진(晉) 나라 때의 은사 신밀(辛謐)을 이른다. 숙중은 그의 자이다. 신밀은 진 나라가 쇠망해 가자, 역적 유총(劉聰)과 석계룡(石季龍) 등의 세대에 수차 부름을 받았으나 나가지 않았고, 급기야 염민(冉閔)이 제호(帝號)를 참칭함에 이르러서는 그가 염민에게 잘못을 충고하는 글을 남기고 인하여 밥을 먹지 않고 굶어 죽었다. <晉書 卷九十四>
❏ 신숭[神嵩] 고려(高麗)를 뜻한다. 개경(開京)의 진산(鎭山)인 송악(松嶽)을 숭산(崧山) 또는 신숭(神嵩)이라고 불렀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卷4 開城府上>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적[薪積]~신정[新亭]~신정수장루[新亭垂壯淚] (0) | 2016.11.15 |
---|---|
신음완[呻吟緩]~신이로[愼耳老]~신자응[神自凝] (0) | 2016.11.14 |
신연도[新淵渡]~신우혈[神禹穴]~신위계[薪爲桂] (0) | 2016.11.11 |
신야[莘野]~신야별설옹[莘野蹩躠翁]~신언서판[身言書判] (0) | 2016.11.10 |
신시[蜃市]~신식남정[新息南征]~신안천석의서수[新安泉石宜徐叟] (0) | 2016.11.09 |
신분[神奔]~신사참[辰巳讖]~신생[申生] (0) | 2016.11.07 |
신반[辛槃]~신번길방[申樊吉方]~신부약[薪斧約] (0) | 2016.11.04 |
신무괘관[神武掛冠] ~신물비입왕상리[愼勿飛入王祥里]~신미비오토[信美非吾土] (0) | 2016.11.03 |
신리[神理]~신마린순석출주[神馬嶙峋石出洲]~신목진의[新沐振衣] (0) | 2016.11.02 |
신뢰필변[迅雷必變]~신룡검화진[神龍劒化津]~신루[蜃樓] (0) | 2016.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