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시서기시구중주[詩書豈是口中珠] 간교한 유자(儒者)가 고시(古詩)의 “푸르고 푸른 보리가 산 언덕에 무성하네. 살아서 보시도 하지 않은 자가 죽어서 어찌 구슬을 입에 무는가[靑靑之麥 生於陵陂 生不布施 死何含珠]”라는 것을 인용하면서 남의 묘를 마구 파헤쳐 시체의 입속에 든 구슬을 빼낸다는 고사에서, 즉 유자가 경전(經典)을 핑계삼아 간교한 짓을 하는 것을 이른다. <莊子 外物>
❏ 시서자발총[詩書資發塚] 언행(言行)이 일치하지 않는 위선적인 사이비 유자(儒者)들을 비평한 말이다. 장자(莊子) 외물(外物)에 “유자들이 입으로는 시와 예를 말하면서 무덤을 파헤친다.[儒以詩禮發冢]”는 말이 있다.
❏ 시서장[詩書將] 학문과 장재(將才)를 겸한 유장(儒將)을 가리킨 말이다.
❏ 시선[詩仙] 이백(李白)의 이칭(異稱). 일찍이 하지장(賀知章)으로부터 하늘나라에서 유배당한 신선[謫仙]이라는 찬탄을 받기도 하였다.
❏ 시세장[時世粧] 당(唐) 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가 지은 글 이름이다. 곧 당시에 유행하는 여인들의 화장이라는 뜻이다.
❏ 시소[尸素] 시위소찬(尸位素餐)의 약칭으로, 서경(書經) 오자지가(五子之歌)에 “태강(太康)이 시위(尸位)하여 안락으로 그 덕을 상실했다.”고 하였는데, 이는 벼슬자리에 있어 그 직책을 다하지 못했다는 뜻이요, 시경(詩經) 위풍 벌단(伐檀)에 “소찬을 아니한다.[不素餐兮]”라 하였는데, 소(素)는 공(空)의 뜻이고 찬(餐)은 밥이니, 무위도식한다는 말이다.
❏ 시속[時俗] 현재의 속세, 세상.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자추정득[詩自趨庭得]~시장[市長]~시점노두고[詩霑老杜膏] (0) | 2016.09.29 |
---|---|
시위소찬[尸位素餐]~시유부비흥[詩有賦比興]~시율가능생난열[詩律可能生暖熱] (0) | 2016.09.28 |
시오설[視吾舌]~시외[始隗]~시우아[狋吽牙] (0) | 2016.09.27 |
시양[廝養]~시연태적[施鉛太赤]~시엽[柿葉] (0) | 2016.09.26 |
시수[詩藪]~시시[柴市]~시시의열[柴市義烈] (0) | 2016.09.23 |
시삼백편[詩三百篇]~시상일호유세계[市上一壺猶世界]~상자[柴桑子] (0) | 2016.09.21 |
시비공색[是非空色]~시비동일마[是非同一馬]~시사여귀[視死如歸] (0) | 2016.09.20 |
시립[柴立]~시모[時毛]~시병연법[示病緣法] (0) | 2016.09.19 |
시령[詩令]~시록[尸祿]~시루종고만천풍[市樓鍾鼓滿天風] (0) | 2016.09.13 |
시남[市南]~시내경지파[詩乃經之葩]~시동[尸童] (0) | 2016.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