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시랑[豺狼] 적도 패좌 등을 비유한 말이다.
❏ 시령[詩令] 시인들이 모여서 시를 짓는데, 시를 꼭 지어야 한다든지, 시간을 정한다든지, 어떤 조건을 정하여 어기면 벌을 받는 것을 말한다.
❏ 시례[詩禮] 자식이 부친에게서 받은 가르침으로, 집안에서의 가르침을 말한다. 공자가 그의 아들인 백어(伯魚)에게 시(詩)와 예(禮)를 배우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 시례발총[詩禮發塚] 즉 유자(儒者)는 잗단 예절을 구실삼아, 생전에 은혜를 베풀지 않은 사람이 죽어서 어떻게 구슬을 입에 머금을 수 있겠는가 하여, 그 무덤을 파서 시체의 입을 벌리고 구슬을 꺼내는 나쁜 일을 한다고 풍자하는 말이다. <莊子 外物>
❏ 시록[尸祿] 옛날에 조상 제사를 지낼 때면 어디나 마음을 붙일 곳이 없어 나이 어린 사람을 신위(神位)에 앉혀 제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것이 벼슬에 비유되어 자리만 지키고 있을 뿐 아무 것도 하는 것 없이 녹만 받아먹는 것을 말한다는 뜻으로, 시위소찬(尸位素餐)과 같은 말이다.
❏ 시루[詩壘] 시단(詩壇)과 같은 뜻이다.
❏ 시루고견정유인[詩壘高堅鄭有人] 정(鄭) 나라 자산(子産)이 집정(執政)한 뒤로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하여 활용했는데 시문을 짓고 사령(辭令)을 담당하는 일은 자우(子羽)에게 맡겨 행인(行人)의 임무를 수행케 했던 고사가 있다. <春秋左傳 襄公 31年>
❏ 시루종고만천풍[市樓鍾鼓滿天風] 옛날에 동지(冬至)가 되면 조정(朝廷)이나 민가(民家)에서 모두 풍악을 울려 동지를 맞는 예(禮)를 행하였고, 또 동지가 되면 광막풍(廣漠風)이 불어온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수[詩藪]~시시[柴市]~시시의열[柴市義烈] (0) | 2016.09.23 |
---|---|
시서기시구중주[詩書豈是口中珠]~시서자발총[詩書資發塚]~시소[尸素] (0) | 2016.09.22 |
시삼백편[詩三百篇]~시상일호유세계[市上一壺猶世界]~상자[柴桑子] (0) | 2016.09.21 |
시비공색[是非空色]~시비동일마[是非同一馬]~시사여귀[視死如歸] (0) | 2016.09.20 |
시립[柴立]~시모[時毛]~시병연법[示病緣法] (0) | 2016.09.19 |
시남[市南]~시내경지파[詩乃經之葩]~시동[尸童] (0) | 2016.09.12 |
시군미[施君美]~시귀[蓍龜]~시기취[詩旣醉] (0) | 2016.09.09 |
시골수생[詩骨瘦生]~시구심균[鳲鳩甚均]~시구혜균[鳲鳩惠均] (0) | 2016.09.08 |
시가조회[詩家藻繪]~시개선아영점점[時開鮮雅詠蔪蔪]~시거안[試據鞍] (0) | 2016.09.07 |
승황[乘黃]~승흥거[乘興去]~승흥심안도[乘興尋安道] (0) | 2016.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