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산양기왕년[山陽記往年] 막역한 벗들끼리 고향 산골에서 즐겁게 노닐던 추억을 말한다. 삼국 시대 위(魏) 나라의 이른바 죽림칠현(竹林七賢)이 혜강(嵆康)의 우거(寓居)인 하내(河內) 산양현(山陽縣)의 죽림에서 노닌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三國志 卷21 魏書 王粲傳 註>
❏ 산양려[山陽侶] 막역지우(莫逆之友). 죽림칠현(竹林七賢)처럼 깊이 마음을 허여하며 격의 없이 지냈다는 말이다. 삼국 시대 위(魏) 나라의 이른바 죽림칠현(竹林七賢)이 혜강(嵆康)의 우거(寓居)인 하내(河內) 산양현(山陽縣)의 죽림에서 노닌 고사에서 기인한 것이다. <三國志 卷21 魏書 王粲傳 註>
❏ 산양루[山陽淚] 세상을 떠난 벗을 생각하며 흘리는 눈물을 말한다. 진(晉) 나라 상수(向秀)가 혜강(嵆康), 여안(呂安) 등과 산양(山陽)에서 친하게 지냈는데, 두 사람이 죽고 나서 상수가 다시 옛 벗의 집을 찾았을 때 이웃에서 들려오는 피리 소리를 듣고 눈물을 흘리며 사구부(思舊賦)를 지었던 고사가 있다. <晉書 卷49 向秀傳>
❏ 산양린적[山陽鄰笛] 진(晉) 나라 때 상수(尙秀)가 친구 혜강(嵇康)이 죽은 뒤 산양에 있는 혜강의 옛 집을 지나다가 이웃 사람이 피리 부는 소리를 듣고 회구심(懷舊心)을 일으킨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四十九>
❏ 산양적[山陽篴] 죽은 친구를 그리워하는 것을 말한다. 산양은 하남(河南)에 있는 지명이다. 진(晉) 나라 때 상수(向秀)가 산양 땅을 지나면서 누군가가 부는 젓대 소리를 듣고는 죽은 친구 혜강(嵆康)과 여안(呂安)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금할 수가 없어서 사구부(思舊賦)를 지었다고 한다.
❏ 산양적성[山陽篴聲] 진(晉) 나라 상수(向秀)가 산양의 옛집을 지나다가 이웃 사람이 부는 피리 소리를 듣고 지금은 죽고 없는 혜강(嵇康)과 여안(呂安)을 생각하여 사구부(思舊賦)을 지어 읊었는데, 그 뒤로 산양의 피리 소리는 옛 친구를 생각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晉書 卷四十九 向秀列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음흥[山陰興]~산이종차[散而鍾此]~산자관원[山字官員] (0) | 2015.12.18 |
---|---|
산음아[山陰鵝]~산음이현편[山陰理縣編]~산음회도흥[山陰回棹興] (0) | 2015.12.18 |
산음방선인[山陰榜船人]~산음설야주[山陰雪夜舟]~산음승흥객[山陰乘興客] (0) | 2015.12.18 |
산용대축빈[山容黛蹙顰]~산유[山楰]~산융[山戎] (0) | 2015.12.18 |
산양택[山陽宅]~산왕[山王]~산왕종괴오군편[山王終愧五君篇] (0) | 2015.12.17 |
산양[山陽]~산양감구[山陽感舊]~산양구여[山陽舊侶] (0) | 2015.12.17 |
산석여랑[山石女郞]~산선[散仙]~산수주아현[山水奏牙絃] (0) | 2015.12.17 |
산붕[山棚]~산서곡음[山棲谷飮]~산서호기[山西豪氣] (0) | 2015.12.17 |
산목보천년[山木保天年]~산보[山甫]~산불사토고능성기고[山不辭土故能成其高] (0) | 2015.12.16 |
산락[蒜酪]~산릉청초육조지[山陵靑草六朝地]~산명수청[山明水淸] (0) | 2015.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