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불치불린[不緇不磷] 논어(論語) 양화(陽貨)아무리 갈아도 얇아지지 않으니 단단하다고 해야 하지 않겠는가. 아무리 물들여도 검어지지 않으니 결백하다고 해야 하지 않겠는가.[不曰堅乎 磨而不磷 不曰白乎 涅而不緇]”라고 공자가 자신을 비유한 말이 나온다.

불치하문[不恥下問]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은 부끄러운 것이 아님. ,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을 말한다.<論語>

불타청성[不唾靑城] 고시에 不敢唾靑城(불감타청성)”이라는 시가 있다.

불탐양락[不貪羊酪] 양락은 곧 양유(羊乳)인데, () 나라 때 육기(陸機)가 일찍이 왕제(王濟)를 찾아뵙자, 왕제가 양유 수곡(數斛)을 육기 앞에 내놓으면서 말하기를 ()이 사는 강동(江東)에는 무엇으로 이것과 맞먹을 것이 있는가?”하니, 육기가 대답하기를 천리호(千里湖)의 순갱(蓴羹)과 평강(平江) 말하(末下)의 염시(鹽豉)가 있을 뿐입니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世說新語 言語>

불편부당[不偏不黨]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중정(中正), 공평(公平)하다. 늘 그러한 자연의 길()의 본질을 말한다. 무편무당(無偏無黨).

불편불의[不偏不倚] 중용(中庸)의 중() 자에 대한 뜻을 풀이한 말이다. 주자(朱子)치우치지 않고 기대지 않아서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하는 것이 없는 것을 ()’이라 이르고 용()은 평상(平常)한 것이다.[不偏不倚 無過不及之謂中 庸平常也]”라고 하였다. <中庸章句 題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