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백병참[白柄鑱] 두보의 시에 “장참장참백목참(長鑱長鑱白木鑱)”이란 구절이 있다.
❏ 백보천양[百步穿楊] 초(楚)나라 양유기(養由基)가 활을 잘 쏘아 백 걸음 앞에서 버들잎을 겨누어서 뚫었다.
❏ 백봉[白鳳] 뛰어난 시상(詩想)을 비유한 말이다. 한(漢) 나라 때의 문장가인 양웅(揚雄)이 흰 봉황[白鳳]을 토(吐)하는 꿈을 꾸고부터 사부(詞賦)가 더욱 뛰어났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 백봉비[白捧羆] 왕비(王羆)는 북제(北齊)의 맹장이다. 남제(南齊)의 신무제(神武帝)가 한궤(韓軌) 등을 보내어 밤에 하(河)를 건너 왕비를 습격하니, 비가 모르고 있었는데 새벽에 궤의 군병들이 사다리를 타고 성에 들어왔다. 비는 아직 누워 자고 있었는데 문밖의 떠드는 소리를 듣고 맨발로 흰 몽둥이[白棒]을 들고 내달으며 크게 외치기를 “늙은 곰이 여기 길목에 누웠으니 어느 담비가 지나갈 테냐.”라고 하니, 적(敵)이 보고 놀라 물러섰다.
❏ 백부[白傅] 만년에 태자 소부(太子少傅)를 지냈던 당(唐) 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별칭이다.
❏ 백부[帛符] 비단을 찢어 가지는 증명물이다.
❏ 백부[栢府] 어사대(御史臺) 즉 사헌부(司憲府)의 별칭이다. 한(漢) 나라 어사대 안에 잣나무[柏]를 줄지어 심었는데 그 위에 항상 까마귀 수천 마리가 서식하였으므로 어사대를 백부(柏府), 백대(柏臺), 오대(烏臺) 등으로 불렀다고 한다. <漢書 卷83 朱博傳>
❏ 백부편[白傅篇] 당(唐) 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시편이다. 백부(白傅)란 백거이가 만년에 태자소부(太子少傅)를 역임했음으로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설곡[白雪曲]~백설양춘[白雪陽春]~백설조[白雪操] (0) | 2015.08.31 |
---|---|
백설[白雪]~백설[百舌]~백설가[白雪歌] (0) | 2015.08.31 |
백산[白傘]~백석[白石]~백석가[白石歌] (0) | 2015.08.31 |
백사마[白司馬]~백사위인일[白社違人日]~백사자[白獅子] (0) | 2015.08.31 |
백분[白粉]~백붕[百朋]~ 백사[白社] (0) | 2015.08.31 |
백벽[白璧]~백벽수어목[白璧羞魚目]~백벽환연성[白璧還連城] (0) | 2015.08.30 |
백반청추[白飯靑蒭]~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백배[百拜] (0) | 2015.08.30 |
백미[白眉]~백미랑[白眉郞]~백미량[白眉良] (0) | 2015.08.30 |
백목참존[白木鑱存]~백묘전[百畝田]~백문서[白文瑞] (0) | 2015.08.30 |
백마침[白馬沈]~백면서생[白面書生]~백모순속[白茅純束] (0) | 2015.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