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반과[飯顆] 이백(李白)이 반과산(飯顆山)에서 두보(杜甫)를 만나 희롱삼아 지은 시에 반과산 앞에서 두보를 만나니, 머리엔 벙거지 쓰고 해는 한낮이로구나. 묻노니 어찌하여 저리 너무 여위었노, 전부터 시 짓기 괴로워서 그리 된 게지[飯顆山前逢杜甫 頭戴笠子日亭午 借問爲何太瘦生 爲被從前作詩苦]”라 하였다.

반과보[飯顆甫] 이백(李白)희증두보시(戲贈杜甫詩)’에 반과산 마루에서 두보를 만나니, 머리에 삿갓을 썼는데 해는 한낮이다.[飯顆山頭逢杜甫 頭戴笠子日正午]”라고 한 것을 두고 한 말이다.

반과산[飯顆山] 반과는 밥을 말한 것인데, 중국 장안(長安)에 반과산이 있다.

반과산[飯顆山] 이백과 두보(杜甫)가 반과산(飯顆山)에서 만나 이백이 시를 지어 주기를 반과산 앞에 두보를 만나니 머리에 삿갓을 썼는데 해는 한낮이었네. 묻노니, 무엇 때문에 그토록 여위었나, 모두 종전에 시를 애써 지은 까닭이로다.”라 하였다.

반궁[泮宮] 반궁은 성균관(成均館)의 별칭이다.

반궁[泮宮] 제후(諸侯)의 학궁(學宮)이다. 시경(詩經) 노송(魯頌) 반수(泮水)즐거운 반수(泮水)에 잠깐 그 미나리를 캐었노라.”라 하였는데, 그 주에 반수는 반궁(泮宮)의 물이다. 제후의 학궁을 반궁이라 하니, ··남방에 물이 있어 반벽(半壁)과 같다.”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