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반과[飯顆] 이백(李白)이 반과산(飯顆山)에서 두보(杜甫)를 만나 희롱삼아 지은 시에 “반과산 앞에서 두보를 만나니, 머리엔 벙거지 쓰고 해는 한낮이로구나. 묻노니 어찌하여 저리 너무 여위었노, 전부터 시 짓기 괴로워서 그리 된 게지[飯顆山前逢杜甫 頭戴笠子日亭午 借問爲何太瘦生 爲被從前作詩苦]”라 하였다.
❏ 반과보[飯顆甫] 이백(李白)의 ‘희증두보시(戲贈杜甫詩)’에 반과산 마루에서 두보를 만나니, 머리에 삿갓을 썼는데 해는 한낮이다.[飯顆山頭逢杜甫 頭戴笠子日正午]”라고 한 것을 두고 한 말이다.
❏ 반과산[飯顆山] 반과는 밥을 말한 것인데, 중국 장안(長安)에 반과산이 있다.
❏ 반과산[飯顆山] 이백과 두보(杜甫)가 반과산(飯顆山)에서 만나 이백이 시를 지어 주기를 “반과산 앞에 두보를 만나니 머리에 삿갓을 썼는데 해는 한낮이었네. 묻노니, 무엇 때문에 그토록 여위었나, 모두 종전에 시를 애써 지은 까닭이로다.”라 하였다.
❏ 반궁[泮宮] 반궁은 성균관(成均館)의 별칭이다.
❏ 반궁[泮宮] 제후(諸侯)의 학궁(學宮)이다. 시경(詩經) 노송(魯頌) 반수(泮水)에 “즐거운 반수(泮水)에 잠깐 그 미나리를 캐었노라.”라 하였는데, 그 주에 “반수는 반궁(泮宮)의 물이다. 제후의 학궁을 반궁이라 하니, 동·서·남방에 물이 있어 반벽(半壁)과 같다.”라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록[班祿]~반룡부봉[攀龍附鳳]~반린부익[攀鱗附翼] (0) | 2015.08.06 |
---|---|
반랑삼봉[潘閬三峯]~반랑우직년[潘郞寓直年]~반령[潘令] (0) | 2015.08.06 |
반두[礬頭]~반랑고[潘郞苦]~반랑도기려[潘閬倒騎驢] (0) | 2015.08.06 |
반대조삼[鞶帶遭三]~반도[蟠桃]~반동[反同] (0) | 2015.08.06 |
반근[盤根]~반근착절[盤根錯節]~반노[反魯] (0) | 2015.08.06 |
반계직침[磻溪直針]~반곡[盤谷]~반공[班公] (0) | 2015.08.05 |
반경환원[半鏡還圓]~반계곡경[盤溪曲徑]~반계지수[磻溪之叟] (0) | 2015.08.05 |
박희[薄姬]~반강[潘江]~반경[半鏡] (0) | 2015.08.05 |
박탁[剝啄]~박탁풍[舶趠風]~박혁현호이[博奕賢乎已] (0) | 2015.08.05 |
박지약행[薄志弱行]~박진양부생[剝盡陽復生]~박취금[朴醉琴]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