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박회양[薄淮陽] 한 무제(漢武帝)가 급암(汲黯)을 불러 회양태수(淮陽太守)를 제수하였는데, 급암이 사양하고 인(印)을 받지 않자, 무제가 이르기를 “그대는 회양을 박하다고 여기는가? …… 회양의 이민(吏民)들이 서로 불화하므로, 내가 그대의 중(重)함을 얻어서 편히 누워 그 곳을 다스리고자 한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史記 汲黯傳>
❏ 박효백[朴孝伯] 퇴우당(退憂堂), 박승종(朴承宗)의 자로서 시호는 숙민공(肅敏公)이다.
❏ 박희[薄姬] 박씨 계집이란 바로 진(秦) 나라 말기에 위왕 표(魏王豹)의 궁중(宮中)에 있었던 미천한 신분의 여자였는데, 위왕 표가 멸망한 뒤에 그가 한 고조(漢高祖)의 부름을 받고 들어가 문제(文帝)를 낳았는바, 문제가 대왕(代王)에 봉해지자 대태후(代太后)가 되었고, 문제가 제위(帝位)에 오름에 미쳐서는 황태후(皇太后)가 되었다.
❏ 반간[反間] 거짓으로 적국 사람이 되어 적정을 탐지하여 본국에 알리거나 또는 그 일을 하는 사람을 뜻하는 고사성어이다.
❏ 반강[潘江] 육(陸)과 반(潘)은 모두 진(晉) 나라 때 문장(文章)이 당세에 으뜸이었던 육기(陸機)와 반악(潘岳)을 가리키는데, 양(梁) 나라 종영(鍾嶸)의 시품(詩品)에 “육기의 문재는 바다와 같고, 반악의 문재는 강과 같다.[陸文如海 潘藻如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반경[半鏡] 진(陳) 나라 서덕언(徐德言)이 진 후주(陳後主)의 매(妹) 낙창공주(樂昌公主)에게 장가들었는데, 그때 난리가 나서 서로 보호하기 어렵게 되자, 서덕언이 아내와 헤어지면서 말하기를 “당신 같은 재색(才色)으로는 나라가 망하면 반드시 권호가(權豪家)로 들어가게 될 것인데, 우리의 정연(情緣)이 서로 끊어지지만 않으면 다시 서로 만나기를 바라노니, 의당 신표가 있어야겠소.”라 하고, 거울 하나를 반으로 쪼개서 한 쪽씩 나누어 가졌는데, 뒤에 과연 그 거울로 인하여 다시 서로 만나게 되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대조삼[鞶帶遭三]~반도[蟠桃]~반동[反同] (0) | 2015.08.06 |
---|---|
반근[盤根]~반근착절[盤根錯節]~반노[反魯] (0) | 2015.08.06 |
반과[飯顆]~반과산[飯顆山]~반궁[泮宮] (0) | 2015.08.05 |
반계직침[磻溪直針]~반곡[盤谷]~반공[班公] (0) | 2015.08.05 |
반경환원[半鏡還圓]~반계곡경[盤溪曲徑]~반계지수[磻溪之叟] (0) | 2015.08.05 |
박탁[剝啄]~박탁풍[舶趠風]~박혁현호이[博奕賢乎已] (0) | 2015.08.05 |
박지약행[薄志弱行]~박진양부생[剝盡陽復生]~박취금[朴醉琴] (0) | 2015.08.04 |
박옹[泊翁]~박이부정[博而不精]~박자흥[朴自興] (0) | 2015.08.04 |
박약간이[博約簡易]~박양[剝陽]~박옥혼금[璞玉渾金] (0) | 2015.08.04 |
박선적[縛禪寂]~박속방기정[薄俗防機阱]~박식[薄蝕]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