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민건거세[閩囝去勢] ()의 사람들은 자식을 건(), 아버지는 낭파(郞罷)라고 불렀는데, () 나라 때에 그곳 자식들을 환관(宦官)으로 썼기 때문에 형세가 부호한 자들이 많아 그곳 사람들은 자식을 낳으면 곧 거세를 하여 장획(臧獲)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靑箱雜記>

민고완심육[民苦剜心肉] 당나라 섭이중(聶夷中)이 농민들이 농사지은 곡식을 국세(國稅)로 다 바치는 것을 읊은 시에 심두(心頭)의 살을 깎아 낸다[剜却心頭肉]”라는 글귀가 있다.

민공[民功] 민공은 백성들의 농사일을 말한다.

민공[旻公] 예전 당 나라 때에 유명한 중이었는데, 두자미(杜子美)의 시에 민공을 만나지 못한 것이 10년이 되었다.”라는 말이 있다.

민공[旻公] 중을 가리킨 말이다. () 나라 황정견(黃庭堅)의 화범신중우거숭녕우우시(和范信中寓居崇寧遇雨詩)경공은 백성의 곡식 싹이 서지 못할까 걱정하고 민공은 나무가 물에 밀려 뽑힐까 걱정하네. 두 선승이 수역을 여는 데에 뜻을 두어 세밑에 집을 지으니 백도에 해당하겠네[慶公憂民苗未立 旻公憂木水推去 兩禪有意開壽域 歲晩築室當百堵]”라 하였다. <黃山谷詩集 卷二十>

민기부[閔己賦] () 나라 한유(韓愈)가 자기 신세를 탄식한 민기부(悶己賦)를 지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