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문군[文君] 한(漢) 나라 때 촉군(蜀郡) 임공(臨邛)의 부호(富豪) 탁왕손(卓王孫)의 딸 탁문군(卓文君)을 말한다. 사마상여(司馬相如)는 젊었을 때에 독서하기를 좋아하여 문장이 뛰어났는데, 뒤에 임공에 와 있자 왕길이 무척 존경하였다. 그리하여 임공의 부호였던 탁왕손의 연회에 함께 초대되었는데, 이때 마침 탁왕손의 딸인 문군(文君)이 새로 과부가 되어 집에 있다가 사마상여의 풍류에 반하여 마침내 그를 따라 밤에 도망하였다. <漢書 司馬相如傳>
❏ 문군로[文君壚] 탁문군은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아내로, 사마상여가 임공(臨邛)에서 목로집을 차려놓고 탁문군에게 술장사를 하게 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卷一百十七 司馬相如傳>
❏ 문궁[文窮] 창려집(昌黎集) 권36 송궁문(送窮文)의 “그 다음은 문궁(文窮)이니, 한 가지 능력만을 추구하지 않고 괴기한 표현을 일삼아 시국에 응용할 수 없고 오직 스스로 즐길 따름이다.”에서 나온 것으로, 문인이 문장을 잘한 이유로 인해 곤경을 당하는 것을 말한다.
❏ 문궤[文軌] 문궤는 중용(中庸)의 “수레는 굴대의 치수가 동일하고 책은 문자가 동일하다.[車同軌 書同文]”라고 한 말을 줄여 도치(倒置)한 것으로 이는 천하가 통일되어 왕법(王法)이 동일함을 뜻한 것이다.
❏ 문극겸[文克謙] 남평인(南平人)인데, 고려 때에 문무(文武)를 겸비한 재상으로서 특히 무신(武臣)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에는 나라를 안정시키고, 자신을 비롯하여 많은 문신(文臣)들을 화(禍)에서 구해 내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사서도강[聞思誓渡江]~문사통노훈[聞思通爐薰]~문산[汶山] (0) | 2015.07.17 |
---|---|
문문산[文文山]~문불재자호[文不在玆乎]~문비[問備] (0) | 2015.07.17 |
문모[文母]~문무길보[文武吉甫]~문무화후[文武火候] (0) | 2015.07.17 |
문동[文同]~문뢰상비저[聞雷喪匕箸]~문리[文狸] (0) | 2015.07.16 |
문근[聞根]~문노공[文潞公]~문도[文度] (0) | 2015.07.16 |
문계무[聞鷄舞]~문관부잠상[聞鸛婦潛傷]~문관사[問官私] (0) | 2015.07.16 |
문거증수예형직[文擧曾收禰衡直]~문경지교[刎頸之交]~문경지우[刎頸之友] (0) | 2015.07.16 |
문거[文擧]~문거서중어[文擧書中語]~문거숙종주사예[文擧夙從周史裔] (0) | 2015.07.15 |
묵점[墨點]~묵태씨[墨台氏]~묵호자[墨胡子] (0) | 2015.07.15 |
묵양[墨陽]~묵자비염[墨子悲染]~묵적지수[墨翟之守] (0) | 201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