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무욕지심[無慾之心] 욕심(물욕物慾)이 없는 마음
❏ 무용용[無用用] 장자(莊子)에서 나온 말인데, 혜자(惠子)가 말하기를 “내가 큰 나무가 있는데, 큰 뿌리는 옹종(擁腫)하여 먹줄에 맞지 아니하고, 작은 가지는 굽어 규구(規矩)에 맞지 아니하여 길가에 서 있어도 대목이 돌아보지 아니한다.”라 하니 장자(莊子)는 말하기를 “자네가 큰 나무가 있고도 쓸데가 없다면 무하유(無何有)의 고을 광막(廣莫)한 들에 심어 두고, 그 밑에서 소요(逍遙)하면 그 나무가 도끼에 찍혀 죽지 아니할 것이 아닌가.”라 하였다.
❏ 무용지물[無用之物] 쓸모 없는 물건을 이른다.
❏ 무용지용[無用之用] 쓸모가 없는 것이 도리어 크게 쓰여진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어느 날 장자(莊子)가 제자들과 함께 산길을 가다가 유독 나뭇잎이 무성한 큰 나무를 보고 있었는데, 마침 나무꾼 한사람이 나무주변을 둘러보더니 나무를 베지 않고 그냥 가버리는 것이었다. 장자는 그 나무꾼에게 까닭을 묻자 나무꾼은 “옹이가 너무 많아 재목으로는 쓸모가 없습니다”라고 했다. 이 말을 들은 장자는 제자들에게 “이 나무는 쓸모가 없어서 천수를 다 누리게 되었다”라고 일러 주었다. 그 뒤 산을 내려온 일행은 장자 친구 집에서 하루 밤을 유숙하게 되었는데, 그 친구는 오랜만에 찾아온 장자 일행을 반가이 맞이하면서 동자를 시켜 자신이 기르고 있는 기러기 한 마리를 잡아 올리도록 했다. 동자가 “두 마리 중 한 마리는 잘 울고 한 마리는 울지 못하는데 어느 것을 잡을 까요”라고 묻자 “잘 울지 못하는 놈을 잡도록 해라”라고 했다. 다음날 아침 한 제자가 장자에게 “선생님 어제 산속에서의 나무는 재목이 못되어 천수를 누리고, 이 댁의 기러기는 재목이 못되어도 죽음을 당했습니다. 선생님께선 어느 것이 옳다고 생각하십니까”라고 했다. 이에 장자는 “나는 재목이 되는 것과 못되는 것의 중간 것을 택하겠다”라고 대답했다.<장자(莊子) 산목(山木)> 또, 장자(莊子) 인간세편(人間世篇)에 “산의 나무는 그 쓰임 때문에 스스로를 해치고, 기름등불은 그 빛이 밝기 때문에 스스로를 태운다. 개수나무는 향이 많아 베어지고, 옻나무는 칠로 쓸 수 있기 때문에 베어지게 된다. 사람들은 쓸모가 있는 것만 쓸 줄 알지 쓸모가 없는 것에도 쓰임이 있다는 것을 모른다[人皆知有用之用, 而莫知無用之用也]”라고 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일[無逸]~무일호가론[無一豪可論]~무자[撫字] (0) | 2015.07.11 |
---|---|
무이군[武夷君]~무이산[武夷山]~무인경폐견[無人驚吠犬] (0) | 2015.07.11 |
무위이치[無爲而治]~무유서[武攸緖]~무을[武乙] (0) | 2015.07.11 |
무위[無爲]~무위수공[無爲垂拱]~무위이민자화[無爲而民自和] (0) | 2015.07.11 |
무용호[無用瓠]~무우육칠영귀동[舞雩六七詠歸童]~무우흥[舞雩興] (0) | 2015.07.10 |
무염[無鹽]~무와[無吪]~무외국사[無畏國師] (0) | 2015.07.10 |
무애[無涯]~무양[巫陽]~무열사[武烈祠] (0) | 2015.07.10 |
무안옥와진[武安屋瓦振]~무안후[武安侯]~무앙[無央] (0) | 2015.07.10 |
무쌍장[無雙將]~무아묘[巫娥廟]~무아지경[無我之境] (0) | 2015.07.09 |
무시[無始]~무시공[無是公]~무심가입백구군[無心可入白鷗群] (0) | 201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