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무염[無鹽] 본디 중국 산동(山東) 동평현(東平縣) 동쪽에 위치한 전국 시대 제() 나라의 지명인데, 얼굴이 못생기기로 유명한 제 선왕(齊宣王)의 후비 종리춘(鍾離春)이 그 고을 사람이라 하여 매우 못생긴 여자를 가리킨다.

무염[無鹽] 제 선왕(齊宣王)의 부인인 무염읍의 여자 종리춘(鍾離春)을 말하는데, 그는 둘도 없는 추녀(醜女)였다고 한다. <列女傳 鍾離春傳>

무영전[武英殿] 명 나라 때의 궁궐 이름으로, 지금의 북경고궁박물관 곁에 있다.

무예[蕪穢] 논밭이 거칠고 잡초가 많음을 이른다.

무와[無吪] 시경(詩經) 왕풍(王風) 토원(兎爰) “尙寐無吪에서 나온 말로, 영원히 잠들어 깨어나지 않고 싶다는 말이다.

무왕[武王] 주무왕(周武王)이 주()를 칠 때에 백이(伯夷)가 말리기를 신하가 임금을 쳐서는 안 되오.”라 하였다.

무외[無畏] 무외시(無畏施)를 말하는데 삼시(三施)의 하나이다. 무서움이 없는 것을 사람들에게 베푸는 것으로 부처가 대중 가운데서 설법할 적에 태연하여 두려워함이 없는 덕을 말한다.

무외[無畏] 불교(佛敎)의 설법(說法)에 두려움 없는 네 가지[四無畏]가 있으니, 모든 보살(菩薩)들이 모든 것을 잘 기억하는 것, 모든 사람의 마음과 자질을 다 알고 있는 것, 문답(問答)을 잘하는 것, 모든 사람의 의심되는 것을 해결하여 주는 것이다.

무외국사[無畏國師] 고려의 중으로 속명(俗名)은 정오(丁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