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모구갈[旄丘葛] 춘추 시대 여(黎) 나라 신자(臣子)들이 나라를 잃고 위(衛) 나라에 부쳐 있으면서, 위 나라가 구원병을 빨리 보내주지 않은 것을 원망하여 “모구의 칡덩굴이여 어찌 그리 마디가 길게 자랐는고. 숙이며 백은 어찌 그리 많은 날을 보내는고.[旄丘之葛兮 何誕之節兮 叔兮伯兮 何多日也]”라고 노래한 데서 온 말이다. <詩經邶風 旄丘兮>
❏ 모구유갈하다일[旄丘有葛何多日] 마중하러 나오는 사람이 오래도록 오지 않는다는 뜻이다. 시경(詩經) 패풍(邶風) 모구(旄丘)에 “저 언덕의 칡이여, 어쩜 이리 마디가 긴가. 숙이여 백이여, 어쩜 이리 여러 날이 걸리는가.[旄丘之葛兮 何誕之節兮 叔兮伯兮 何多日也]”라고 한 데서 따온 말이다.
❏ 모국[牡菊] 씨가 없는 국화. 태워서 재로 만들어 뿌리면 개구리를 죽일 수 있다는 말이 있다. <本草 菊>
❏ 모국막경투[毛鞠莫輕投] 공[毛鞠]을 던져 참선(參禪)하는 스님을 깨우지 말라는 뜻이다. 고려 때에 특히 격구(擊毬)가 성행하였다.
❏ 모군봉격희[毛君奉檄喜] 모군(毛君)은 후한(後漢) 시대의 모의(毛義). 어머니는 늙고 집은 가난했던 모의가 어느 날 뜻밖에 수령(守令)으로 부르는 부(府)의 격소(檄召)를 받고는 희색이 만면하여 그를 본 이들이 모두 그를 천히 여겼었는데, 그 후 어머니가 죽자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었으나 끝내 응하지 않아 사람들이 그때서야 그의 진의를 알고 감탄했다는 것이다. <後漢書 卷69>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수유중조[毛遂猶重趙]~모수자천[毛遂自薦]~모순당착[矛盾撞着] (0) | 2015.06.26 |
---|---|
모석[矛淅]~모설역양도아수[毛薛亦讓屠兒手]~모소언[暮召偃] (0) | 2015.06.26 |
모사[蝥絲]~모생고[毛生股]~모생전국사[毛生戰國士] (0) | 2015.06.26 |
모두미[矛頭米]~모류비[慕類悲]~모모[嫫母] (0) | 2015.06.26 |
모군정려[毛君鼎呂]~모기령[毛奇齡]~모두[旄頭] (0) | 2015.06.26 |
모골송연[毛骨悚然]~모공해오[毛公解誤]~모구[旄丘] (0) | 2015.06.25 |
명화[茗花]~명황촉도[明皇蜀道]~모격[毛檄] (0) | 2015.06.25 |
명행[溟涬]~명협[蓂莢]~명홍[冥鴻] (0) | 2015.06.25 |
명철명길[命哲命吉]~명출패[命出牌]~명하[明霞] (0) | 2015.06.25 |
명주의이[明珠薏苡]~명지생모[名紙生毛]~명지이심우신계[明之已審虞臣戒] (0) | 201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