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모석[矛淅] “창끝으로 쌀을 일고 칼끝으로 불을 땐다.[矛頭淅米劍頭炊]”는 말을 줄인 것으로, 만일에 대비하여 소홀함이 없이 함을 뜻한다. <晉書 顧顗之傳>
❏ 모설역양도아수[毛薛亦讓屠兒手] 모설은 전국 시대 위(魏) 나라 신릉군(信陵君)의 문객인 모공(毛公)과 설공(薛公)을 가리키며, 도아(屠兒)는 백정으로 역사(力士) 주해(朱亥)를 가리킨다. 신릉군의 누이는 조(趙) 나라 평원군(平原君)의 부인이었는데, 조 나라가 진(秦) 나라의 침략을 받자, 구원을 청했으나 위왕(魏王)이 듣지 않으므로 신릉군은 후생(候生)의 계략을 써, 백정이던 주해로 하여금 장군 진비(晉鄙)를 철퇴로 쳐죽이게 한 다음 그 군사를 빼앗아 거느리고 조 나라를 구원하여 크게 진군(秦軍)을 무찔렀다. <史記 張耳陳餘傳·信陵君傳>
❏ 모소언[暮召偃] 언은 한 무제(漢武帝) 때 제국(齊國)의 주보언(主父偃)을 가리킨다. 주보언이 주역(周易) 춘추(春秋)를 비롯하여 백가서(百家書)에 통했으나 일찍이 제(齊)·연(燕)·조(趙) 등지에서 융숭한 대우를 받지 못하자, 위 장군(衛將軍:위청(衛靑))을 통해 무제(武帝)에게 알현(謁見)을 요청하였지만 그도 뜻대로 되지 않으므로, 직접 궐하(闕下)에서 상서(上書)한 끝에 왕으로부터 저물녘에야 소견(召見)을 받아 국가에 대해 중대한 일을 아뢰고 나서 대번에 등용되었던 고사인데, 주보언의 모책(謀策)을 받아들여 한(漢) 나라가 크게 안정되었다. <漢書 卷六十四 主父偃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의격[毛義檄]~모의희[毛義喜]~모인[慕藺] (0) | 2015.06.27 |
---|---|
모운[暮雲]~모운춘수[暮雲春樹]~모의[毛義] (0) | 2015.06.27 |
모영[毛穎]~모용[茅容]~모우조운[暮雨朝雲] (0) | 2015.06.27 |
모시[毛詩]~모심곽[茅尋郭]~모야[某也] (0) | 2015.06.27 |
모수유중조[毛遂猶重趙]~모수자천[毛遂自薦]~모순당착[矛盾撞着] (0) | 2015.06.26 |
모사[蝥絲]~모생고[毛生股]~모생전국사[毛生戰國士] (0) | 2015.06.26 |
모두미[矛頭米]~모류비[慕類悲]~모모[嫫母] (0) | 2015.06.26 |
모군정려[毛君鼎呂]~모기령[毛奇齡]~모두[旄頭] (0) | 2015.06.26 |
모구갈[旄丘葛]~모국[牡菊]~모군봉격희[毛君奉檄喜] (0) | 2015.06.25 |
모골송연[毛骨悚然]~모공해오[毛公解誤]~모구[旄丘] (0) | 201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