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동교[東橋] 중국 장안성(長安城)에 있는 파교(灞橋)의 이칭으로, 동쪽에 있다고 해서 이렇게 부른다.
❏ 동교[東郊] 한(漢) 나라 소광(疏廣)이 벼슬을 그만두고 시골로 내려갈 때 동대문 밖에서 송별을 하였는데, 그때 전송을 나온 수레가 수백 대나 되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漢書 疏廣傳>
❏ 동교별업[東郊別業] 별장 전원의 뜻과 같다.
❏ 동교요[董嬌饒] 전등여화(剪燈餘話)에 나오는 미인(美人)의 이름이다.
❏ 동구[東歐] 지금의 절강성 온주시(溫州市)다.
❏ 동군[桐君] 동군은 황제(黃帝) 때 사람인데 일찍이 약을 캐며 도(道)를 구하여 동려현(桐廬縣)의 동산에서 살았다. 초목(草木)과 금석(金石)의 성미(性味)를 잘 알아 삼품(三品)의 약물(藥物)을 정하여 약성(藥性) 4권과 채약록(採藥錄)을 저술하였다.
❏ 동군[東郡] 동쪽의 고을을 가리킨다.
❏ 동군[東君] 봄의 별칭이다. 봄의 신(神). 봄이 오행(五行)상으로 동방(東方)과 목(木)과 청색(靑色)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동제(東帝), 청제(靑帝), 청황(靑皇), 태호(太皥)등으로 칭하기도 한다.
❏ 동군미옥절[東君弭玉節] 동군은 봄을 맡은 동쪽의 신(神)을 말하고, 옥 부절[玉節]은 곧 봄 소식을 의미한다.
❏ 동궁[彤弓] 동궁(彤弓)은 붉은 활인데, 주(周) 나라 때에 제후(諸侯)가 전공(戰功)이 있으면, 천자(天子)가 동궁을 주는 것이다. 주 평왕(周平王)이 진 문후(晉文侯)를 방백(方伯)에 임명하면서 동궁과 노시를 하사한 데서 온 말이다. <書經 文侯之命>
❏ 동궁[東宮] 사시(四時)에 봄은 동쪽에 해당하는데, 주역(周易)의 진괘(震卦)는 장남괘(長男卦)로서 방위로는 동쪽이므로 동궁이라 한 것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려[桐廬]~동로가[東魯家]~동료[凍醪] (0) | 2015.05.07 |
---|---|
동동촉촉[洞洞燭燭]~동래자기[東來紫氣]~동량지재[棟梁之材] (0) | 2015.05.07 |
동년[同年]~동도주인[東道主人]~동동[曈曈] (0) | 2015.05.07 |
동근연지[同根連枝]~동남누접[童男樓艓]~동녀시[童女詩] (0) | 2015.05.07 |
동궁훈업[彤弓勳業]~동귀[東歸]~동귀초수[同歸楚水] (0) | 2015.05.07 |
동관기[彤管記]~동관청금[彤管靑衿]~동괵[東虢] (0) | 2015.05.06 |
동곽지랑[東郭之良]~동관[彤管]~동관귀래[童冠歸來] (0) | 2015.05.06 |
동공원자건[董公元自健]~동공이곡[同工異曲]~동곽리[東郭履] (0) | 2015.05.06 |
동객[峒客]~동계공[東溪公]~동고서소[東皐舒嘯] (0) | 2015.05.06 |
동강구진[東江舊鎭]~동강수[桐江叟]~동강칠리탄[桐江七里灘] (0) | 201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