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남완[南阮] 위진(魏晉) 시대의 명사인 완적(阮籍)의 조카 완함(阮咸)이 남쪽 동네에서 가난하게 살면서 칠월 칠석날 부유한 완씨(阮氏)들이 살고 있는 북쪽 동네를 찾아가서 잠방이를 대나무 막대기에 꿰어들고 다녔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世說新語 任誕>
❏ 남완정응경북완[南阮定應輕北阮] 완적의 조카 완함(阮咸)은 길 남쪽에 살고, 다른 여러 완씨는 길 북쪽에 사는데, 북완은 부(富)하고 남완은 가난하였다.
❏ 남완탐주[南阮耽酒] 남완(南阮)은 도남(道南)에 살았던 진(晉) 나라 완적(阮籍)과 완함(阮咸) 등을 가리키는데, 도북(道北)의 북완(北阮)이 부유했던 데 반해 매우 가난했다 한다. 완적이 술을 탐내 보병교위(步兵校尉)를 자청하고, 완함이 돼지와 술을 마셨던 고사는 유명하다. <晉書 卷49>
❏ 남우[濫竽] 남(濫)은 실제로는 능력이 없으면서 함부로 한다는 뜻이다. 우(竽)는 대나무로 만든 악기이다. 즉, ‘우(竽)를 함부로 분다’는 뜻이다.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것처럼 속여 외람되이 높은 벼슬을 차지하는 것을 말한다. 춘추(春秋) 시대 제 선왕(齊宣王)이 우(竽)라는 피리를 좋아하여 악인(樂人) 3백 명을 불러 이 피리를 연주하게 하였는데, 남곽(南廓)이라는 처사(處士)가 원래 피리를 불지도 못하면서 그 많은 사람들 가운데 끼어서 함부로 피리를 불어 한때는 속여 넘겼으나, 민왕(湣王) 때에 이르러 한 사람씩 불러서 불어보게 한 결과, 남곽이 드디어 도망가고 말았다고 한다. <韓非子 內儲說上> 제우(齊竽).
❏ 남운[南雲] 남쪽 구름은 고향의 정 또는 부모에 대한 그리움을 상징한다.
❏ 남운북몽[南雲北夢] 강남(江南)에 위치한 운몽(雲夢)이라는 늪지대가 강의 남북으로 뻗어 있어 한 곳은 지대가 높고 한 곳은 낮기 때문에 물이 잦는 시기도 다르고, 경작 시기 역시 조만이 달라 합해서 말하면 물론 하나의 운몽택(雲夢澤)이지만 운택·몽택 둘로 분리해서 말하기도 한다. <書經 禹貢>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존여비[男尊女卑]~남주탑[南州榻]~남지일양생[南至一陽生] (0) | 2015.03.05 |
---|---|
남정[南正]~남제운[南霽雲]~남조화축[南朝畫軸] (0) | 2015.03.05 |
남장[男粧]~남전옥자[藍田玉子]~남전지약[藍田之約] (0) | 2015.03.05 |
남위[南威]~남음[南音]~남인역록[南人轣轆] (0) | 2015.03.05 |
남원북철[南轅北轍]~남월[南越]~남월도강[攬月倒江] (0) | 2015.03.05 |
남양삼고[南陽三顧]~남영주[南榮趎]~남와장양[南訛長養] (0) | 2015.03.04 |
남악표[南嶽豹]~남양[南陽]~남양[南陽] (0) | 2015.03.04 |
남소[南巢]~남순장[南巡仗]~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 (0) | 2015.03.04 |
남산종두희[南山種豆稀]~남상[濫觴]~남성[南省] (0) | 2015.03.04 |
남산무[南山霧]~남산수[南山壽]~남산은표[南山隱豹] (0) | 201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