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나부매[羅浮梅] 수(隋) 나라 조사웅(趙師雄)이 나부산(羅浮山) 아래를 지나다가 날이 저물었는데, 숲 사이의 주막에서 소복을 입은 미인이 그를 맞아 함께 정겹게 술을 마시다 취해 자고 일어나 보니 미인도 주막도 없고 자신은 큰 매화나무 아래에 누워 있었다 한다. <尙友錄 卷十六>

❏ 나부몽[羅浮夢] 수(隋)의 조사웅(趙師雄)이 나부의 매화촌(梅花村)에 있는 주점(酒店) 가에서 소복(素服)으로 단장한 미인(美人)을 만나 함께 술을 마시고 취하여 잠이 들었다가 깨어 보니, 자신만 큰 매화나무 밑에 누워있었다. 그리고 달은 지고 삼성(參星)은 기울었으며 위에서는 비취(翡翠)가 지저귈 뿐이었다는 고사이다. <龍城錄>

❏ 나부산[羅浮山] 중국 광동성(廣東省) 증성현(增城縣)에 있는데, 이 산에는 매화가 많아서 ‘나부매(羅浮梅)’가 유명하다. 그리하여 소식(蘇軾)의 매화에 대한 시에 “나부산 아래 매화촌, 흰 눈으로 뼈를 이루고 얼음으로 넋을 이루었네[羅浮山下梅花村 玉雪爲骨氷爲魂]”라고 하였다. <蘇東坡集 後集 卷四 松風亭下梅花盛開 再用前韻>

❏ 나부산[羅浮山] 중국 광동성(廣東省)에 있는 산으로, 백여 리를 길게 뻗어 있고 4백여 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경치가 수려하여 월(粵)지방의 명산으로 불린다. 진(晉)나라 갈홍(葛洪)이 그곳에서 선술(仙術)을 얻었다 하여 흔히 선산(仙山)으로 이해된다.

❏ 나부산[羅浮山] 광동성(廣東省)의 동강(東江) 북안(北岸)에 있는 산 이름으로, 수(隋)나라 때 조사웅(趙師雄)이 꿈속에서 매화 선녀(梅花仙女)를 만났다고 전하므로, 후대에는 매화에 대해 시를 읊을 때 흔히 인용한다.

❏ 나부자유부[羅敷自有夫] 진(秦)나라 여자 나부(羅敷)가 들에서 뽕을 따는데 관원이 지나다가 황금 선물 주겠다고 유혹하였으나 거절하기를 “사또님은 아내가 있고 나부는 남편이 있습니다[使君自有婦羅敷自有夫].”라고 하였다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