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군저[群狙] 군저는 뭇 원숭이인데, 저(狙)는 곧 저격(狙擊)의 뜻을 취한 것이다. 유자(孺子)가 노래하기를 “창랑(滄浪)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을 수 있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을 수 있다.”고 하니,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소자(小子)들아, 들어 보아라. 맑으면 갓끈을 씻고, 흐리면 발을 씻게 되니, 물이 스스로 취한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孟子 離婁上>
-
군평[君平] 정두경(鄭斗卿)의 자(字)이다.
-
군평[君平] 한(漢) 나라 때 사람 엄군평(嚴君平)으로 이름은 준(遵)이다. 점을 잘 쳐서 사람이 문전성시를 이루고 하루면 많은 돈을 벌었지만 언제나 점괘를 빙자하여 사람들에게 충효(忠孝)와 신의(信義)를 가르쳤고 하루 생계가 마련되면 발을 내리고 손님을 받지 않았다 한다. 또한 나이 90이 넘게 살면서 그 지조를 바꾼 일이 없었다 한다. <漢書 卷72>
-
군평[君平] 한(漢) 나라 엄준(嚴遵)의 자로, 성도(成都)의 시장에서 점을 치던 사람인데, 매일 점을 쳐서 하루 먹을 만큼만 벌면 즉시 문을 닫고 들어앉아서 노자(老子)를 읽거나 저술을 하였으며, 관원들과는 교제하지 않았고 종신토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太平御覽 卷509>
-
군평기세[君平棄世] 군평은 한(漢) 나라 때 촉(蜀)의 은사 엄준(嚴遵)을 말한다. 군평은 그의 자이다. 그는 끝내 세상에 나가지 않고 성도(成都)의 시장에서 복서(卜筮)를 업으로 삼아 생계를 유지하였으며, 노자(老子)를 전공하여 생도들을 가르치고 십여만 언(言)의 노자지귀(老子指歸)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漢書 卷七十二>
-
군평첨윤[君平詹尹] 한(漢) 나라의 엄군평(嚴君平)과 초(楚) 나라의 정첨윤(鄭詹尹)으로, 점을 잘 치는 사람을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자회사[屈子懷沙]~굴좌도[屈左徒]~굴평침상[屈平沈湘] (0) | 2015.01.15 |
---|---|
굴이불신[屈而不信]~굴자구근상[屈子遘靳尙]~굴자상[屈子傷] (0) | 2015.01.14 |
굴슬병[屈膝屛]~굴원문천천불어[屈原問天天不語]~굴원침골일[屈原沈汨日] (0) | 2015.01.14 |
굴묘편시[掘墓鞭屍]~굴문첨[屈問詹]~굴송[屈宋] (0) | 2015.01.14 |
군후[君侯]~굴가[屈賈]~굴로[屈盧] (0) | 2015.01.14 |
군자원포주[君子遠疱廚]~군자표변[君子豹變]~군자화이부동[君子和而不同] (0) | 2015.01.13 |
군자도장진[君子道長辰]~군자불기[君子不器]~군자우[君子芋] (0) | 2015.01.13 |
군웅할거[群雄割據]~군자개과[君子改過]~군자대로행[君子大路行] (0) | 2015.01.13 |
군실가액망[君實加額望]~군옥봉[群玉峯]~군왕침과[君王枕戈] (0) | 2015.01.13 |
군섭[君涉]~군숙오주가[群叔誤周家]~군신유의[君臣有義] (0) | 201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