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교회동방삭[狡獪東方朔] 서왕모의 사자가 한 무제에게 동방삭을 가리키며 “이자는 아주 불량해서 벌써 세 번이나 복숭아를 훔쳐 먹었기 때문에 이곳에 귀양을 오게 되었다.”고 말했다는 전설이 있다. <漢武帝內傳>

  • 구[韮] 부추.

  • 구[咎] 잘못.

  • 구가[九歌] 고대의 악곡으로, 우(禹) 임금 때의 음악이라고 전한다. 또는 각종의 악곡을 범범하게 지칭하기도 한다.

  • 구가[九歌] 구공(九功)의 덕을 노래한 것이다.

  • 구가[九歌] 초사(楚辭)의 편명이다. 초(楚) 나라 굴원(屈原)이 지은 동황태(東皇太)·운중군(雲中君)·상군(湘君)·상부인(湘夫人)·대사명(大司命)·소사명(小司命)·동군(東君)·하백(河伯)·산귀(山鬼)·국상(國殤)·예혼(禮魂)을 말한다. 왕일(王逸)의 초사장구(楚辭章句)에 의하면, 굴원이 추방당해 완수(沅水)·상수(湘水) 사이의 지역에서 울분에 찬 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속인(俗人)들의 제례(祭禮)와 가무악(歌舞樂)의 사(詞)가 너무 비루(鄙陋)함을 보고 구가의 곡을 지어, 위로는 귀신 섬기는 공경을 펴고, 아래로는 자신의 맺힌 원한을 표현해서 임금에게 풍간(風諫)하였다.

  • 구가개귀순[謳歌皆歸舜] 순(舜) 임금이 요(堯) 임금의 상(喪)을 마치고는 요임금의 아들을 피해 남하(南河)의 남쪽에 가 있을 적에 구가하여 송덕(頌德)하는 자들이 요임금의 아들을 구가하지 않고 모두 순임금을 구가하므로, 순임금이 마지못하여 천자(天子)의 자리에 올랐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孟子 萬章上>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