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고소대[姑蘇臺] 전국 시대 때에 오나라 오자서(伍子胥)가 오나라가 오래지 않아 망할 것을 탄식하기를 “마침내 고소대(姑蘇臺)에 들사슴들이 노는 것을 보리라.”라 하더니, 과연 오나라가 망하고 뒤에 그 땅에 나라를 세운 이도 그것을 거울삼아 경계[戒]할 줄 모르고 여러 나라가 망하였음을 탄식한 것이다.
-
고소록[姑蘇鹿] 오자서(伍子胥)가 오왕(吳王)에게 간(諫)하다가 들어주지 않고 죽임을 당하면서 “마침내 나라는 망하고 궁중 안 고소대(姑蘇臺)에 들사슴이 와서 놀게 될 것이다.”라 하였다.
-
고소미록유[姑蘇麋鹿遊] 고소는 춘추 때의 오(吳) 나라 서울이었다. 오 나라가 망하여 그 서울이 쑥밭이 되어 산짐승이 와서 놀게 되었다.
-
고소원신겸[故素怨新縑] 옛 시에 “새 여자는 비단을 잘 짜고, 옛 여자는 깁을 잘 짠다네.”라 하였다. 고소(故素)는 전의 아내를, 신겸(新縑)은 새 아내를 뜻한다.
-
고송유수[古松流水] 소식이 말하기를 “予嘗獨遊廬山白鶴觀……聞棋聲於古松流水之間……”이라 하였다.
-
고수[誥授] 나라에서 공신(功臣)과 그 선조(先祖)에게 작호(爵號)를 내리는 영전(榮典)인데, 진대(晉代)에 시작되어 당대(唐代)에 와서 갖추어졌으나, 그 제도는 왕조마다 같지 않았다. 청대(淸代)에서는 본인에게 내리는 봉작(封爵)을 수(授)라 하고 증조부모·조부모·부모·처에게 내리는 작호 중에 생존한 이에게는 봉(封), 죽은 이에게는 증(贈)이라 하였다. 5품 이상관에게 내리는 고명(誥命)은 고수·고봉(誥封)·고증(誥贈)이라 하고 6품 이하관에게 내리는 고명은 칙수(勅授)·칙봉(勅封)·칙증(勅贈)이라 하였다. 1품관은 작호가 증조부모·조부모·부모에까지 미치고 3품관 이상은 조부모·부모에까지 미치며 7품관 이상은 부모와 처에까지 미치고 9품관 이상은 겨우 자기 몸에만 미쳤는데, 여기에는 각각 정한 예가 있어 예수(例授)·예봉(例封)·예증(例贈)이라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어멸성[皐魚滅性]~고어지사[枯魚之肆]~고역사[高力士] (0) | 2014.12.10 |
---|---|
고양[枯楊]~고양구주도[高陽舊酒徒]~고양주도[高陽酒徒] (0) | 2014.12.10 |
고애곡풍수[孤哀哭風樹]~고야[姑射]~고야작[姑射綽] (0) | 2014.12.10 |
고신씨[高辛氏]~고심참담[苦心慘憺]~고안[羔雁] (0) | 2014.12.10 |
고시[楛矢]~고시멸진장[高是滅秦將]~고식척영[孤息隻影] (0) | 2014.12.10 |
고선[枯禪]~고성낙일[孤城落日]~고소대[姑蘇臺] (0) | 2014.12.10 |
고산처사[孤山處士]~고상곡[枯桑穀]~고생권리시[高生卷裡詩] (0) | 2014.12.09 |
고산사[孤山士]~고산유수고금음[高山流水古琴音]~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 (0) | 2014.12.09 |
고사[瞽史]~고사빙부[姑射氷膚]~고산[孤山] (0) | 2014.12.09 |
고분비[叩盆悲]~고불일[顧不一]~고빙[叩氷] (0) | 201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