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고선[枯禪] 세상사 다 잊고 앉아서 참선(參禪)만 하는 승려를 이른다.

  • 고선행[高善行] 선행은 의병장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아들인 고용후(高用厚)의 자()이다.

  • 고성낙일[孤城落日] 외로운 성에 해는 짐. 도와 줄 사람도 없는 외롭고 서글픈 사정. 해가 지는 배경으로 성() 하나만이 외로이 있음. 스러질 때가 얼마 남지 않아 근심되고 서러운 지경을 비유하는 말이다. 四顧無親, 孤立無依.

  • 고성방가[高聲放歌] 큰소리로 떠들고 마구 노래 부름을 이른다.

  • 고소[苦笑] 씁쓸한 웃음, 쓴웃음.

  • 고소[顧邵] 자는 효칙(孝則), 오군(吳郡) 사람. 27세이 집안을 일으켜 예장태수(豫章太守)가 되었다.

  • 고소[姑蘇] 중국 강소성(江蘇省) 오현(吳縣)에 있는 고소산을 말한다.

  • 고소대[姑蘇臺] 강소성(江蘇省) 오현(吳縣)의 서쪽 고소산(姑蘇山)에 있는 누대(樓臺)이다. 춘추 시대 월왕 구천(越王句踐)은 오왕 부차(吳王夫差)에게 회계산(會稽山)에서 크게 패한 후 쓸개를 씹으며[嘗膽] 복수할 것을 꾀하다가 저라산(苧蘿山)에서 얻은 미인 서시(西施)를 부차에게 바치니, 부차는 그의 미모에 혹하여 고소대를 크게 짓고는 날마다 유희(遊嬉)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았으며 이것을 간하는 충신 오자서(伍子胥)를 죽였다. 이 때문에 결국 오 나라는 월 나라에게 멸망을 당했는데, ()의 대부 범려(范蠡)는 성공한 다음 공명을 피하여 고소대에 있던 서시와 함께 오호(五湖)에 배를 띄우고 스스로 치이자피(鴟夷子皮)라고 성명을 고친 다음, 월 나라를 떠나 한가하게 살았다. <史記 越王句踐世家>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