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송화 가루를 양식으로 삼고

 

솔방울을 향으로 삼고

 

솔가지를 주미로 삼고

 

솔 그늘을 휘장으로 삼고

 

솔바람을 음악으로 삼는다.

 

산에 살며

 

큰 소나무 백 여 그루를 얻는다면

 

참으로 받아쓰는 것이 그지없다.

 

 

以松花爲量, 以松實爲香,

이송화위량, 이송실위향,

以松枝爲麈尾, 以松陰爲步障, 以松濤爲鼓吹.

이송지위주미, 이송음위보장, 이송도위고취.

山居得喬松百餘章, 眞乃受用不盡.

산거득교송백여장, 진내수용부진.

 

<幽夢影 116 유몽영>

 

  • 보장[步障]  휘장(揮帳). 장막(帳幕). 고대에 귀족들이 출행할 때 바람과 먼지를 막기 위해 사용하던 이동식 가리개. 옛날에 귀인(貴人)이 출행(出行)할 때에 바람과 먼지를 가리기 위하여 길 좌우에 친 휘장을 말하는데, 진(晉)나라 때 부호(富豪)인 석숭(石崇)이 너무도 사치스러워서 50리 길이의 비단 보장을 만든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汰侈>
  • 휘장[揮帳]  여러 폭의 피륙을 이어 만든 둘러치는 장막. 피륙을 여러 폭으로 이어 둘러치는 넓은 천.
  • 보장[步障]  옛날 귀족들이 밖에 나가 머물 때, 바람과 먼지 같은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하던 병풍 같은 행막(行幕)으로 대나무를 세워 간살을 만들고 붉은 비단을 드리워 길 양쪽에 치던 막이다. 진(晉) 나라 때의 석숭(石崇)은 귀족들과 서로 사치를 경쟁하였는데, 왕개(王愷)가 40리 길이의 자주빛의 비단 보장을 마련하자, 석숭은 50리 길이의 붉은 비단 보장을 마련하였다 한다. <晉書 卷33 石崇列傳>
  • 주미[麈尾]  큰사슴의 꼬리를 매달아 만든 총채 모양의 도구. 스님이나 위진(魏晉)시대의 청담가(淸談家)들이 항상 손에 들고 있던 것이다. 모양이 나뭇잎과 비슷했다. 오늘날의 깃털 부채와 닮았는데, 큰사슴 꼬리로 만들었다. 그 중에서도 흰털로 만든 것이 제일 좋다 하며 이것을 백불(白拂)이라 한다. 사슴 등의 무리는 꼬리를 흔드는 대로 따라간다 하며, 자루에 꽂아 먼지 터는 데에 쓰는데 진(晉)의 명사(名士)들이 청담(淸談)을 할 때 손에 쥐고 이리저리 흔들며 이야기 했다.
  • 송도[松濤]  솔바람. 솔잎 사이를 지나는 바람소리. 소나무가 바람에 흔들려 물결 소리처럼 나는 소리. 송뢰(松籟). 송운(松韻).
  • 고취[鼓吹]  북을 치고 피리를 붊. 행악을 연주하던 악대. 전하여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면 저절로 흥이 나는 것처럼 용기나 기운을 북돋워 일으키거나 의견, 사상 등을 열렬히 주장하여 불어넣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 교송[喬松]  높이 솟은 키가 큰 소나무. 교(喬)는 왕자교(王子喬), 송(松)은 적송자(赤松子)를 일컬으며, 둘 다 늙지도 죽지도 않는 선인(仙人)으로 전해지며, 전하여 장수(長寿)・장명(長命)의 비유로 쓰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