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호량[濠梁] 안휘성(安徽省) 봉양현(鳳陽縣)에 있는 호수(濠水)의 가교(架橋)이다. 옛날 장자(莊子)가 자기 친구인 혜자(惠子)와 함께 호량에서 노닐면서 물고기의 낙(樂)에 대하여 서로 얘기를 나누었던 데서 온 말로, 즉 친구들끼리 물가에서 노닒을 비유한 것이다. <莊子 秋水>
❏ 호량변[濠梁辨]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 장자와 혜자(惠子)가 호량(濠梁)의 강 위에서 어락(魚樂)에 대해 서로 논쟁한 것을 이른다.
❏ 호량유[濠梁游] 친한 벗끼리 둘이 만나 노닒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莊子)가 자기 친구인 혜자(惠子)와 함께 호수(濠水)의 다리에 앉아 물고기를 구경하며 노닐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秋水>
❏ 호려[虎旅] 호분(虎賁)과 여분(旅賁)으로, 즉 위사(衛士)를 가리킨다.
❏ 호련[瑚璉] 호(瑚)와 연(璉)은 모두 고대에 종묘(宗廟)에서 서직(黍稷)을 담던 소중한 제기(祭器)로서, 그 귀중함으로 인해 큰 임무를 감당할 만한 재능을 소유한 자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에 “자공이 묻기를 ‘저는 어떠한 그릇입니까?’라고 하자, 공자가 이르기를 ‘너는 호련이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 호련기[瑚璉器] 호련(瑚璉)은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기장을 담아 바치는 중요한 제기로써 품격이 높은 사람 또는 훌륭한 인재를 이른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에 “자공(子貢)이 ‘저는 어떻습니까?’라고 하니, 공자가 ‘너는 그릇이다.’라고 하였다.’무슨 그릇입니까?’라고 하니, ‘호련이다’라고 하였다.[子貢問曰 賜何如 子曰 汝器也 曰 何器也 曰 瑚璉也]”고 하였다.
❏ 호령[狐嶺] 남태령의 별칭이다.
❏ 호로[葫蘆] 약초의 이름인 호로파(葫蘆巴)의 준말인데, 본초(本草)에 의하면 이 약초를 의가(醫家)에서 장부(臟腑)의 허냉증(虛冷症)에 쓴다고 되어 있다.
❏ 호로[葫蘆] 호로는 당 나라 등산거(鄧山居)가 독약을 화살에 발라 짐승을 쏘았는데 그 자리에서 넘어지므로 모호로(毛葫蘆)라 하였다.
❏ 호로[葫蘆] 호로는 의양화호로(依樣畫葫蘆)의 준말로, 곧 옛사람을 본뜨기만 하고 새로운 생각을 창안해 내지 못함을 이른다. 송(宋) 나라 도곡(陶穀)의 시에 “가소롭다 한림 도 학사는 해마다 모양 따라 호로병을 그리누나.[堪笑翰林陶學士 年年依樣葫蘆]”라고 하였다.
❏ 호룡도[虎龍韜] 병법(兵法)에 깊은 조예가 있는 것을 말한다. 주(周) 나라 여상(呂尙)이 지은 육도(六韜)라는 병서(兵書) 속에 용도(龍韜)와 호도(虎韜)의 편명이 들어 있다.
❏ 호릉[胡陵] 지금의 산동성 어대현(魚臺縣) 동남쪽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섭수 유기미[狐涉水 濡其尾], 호손입낭[胡孫入囊], 호수[狐首], 호수한사[皓首漢駟], 호숭[呼嵩] (1) | 2025.06.25 |
---|---|
호사수구[狐死首丘], 호사유피[虎死留皮], 호사자[好事者], 호상락[濠上樂], 호생[好生] (2) | 2025.06.18 |
호복의[濠濮意], 호부[虎符], 호부견자[虎父犬子], 호분[胡紛], 호분[虎賁], 호사다마[好事多魔] (2) | 2025.06.11 |
호모부가[毫毛斧柯], 호목[蒿目], 호문[互文], 호미[狐媚], 호배[虎拜], 호백구[狐白裘] (2) | 2025.06.10 |
호리[毫釐], 호리곡[蒿里曲], 호리옥경[壺裏玉京], 호마[胡麻], 호마호우[呼馬呼牛] (3) | 2025.06.04 |
호기진등[豪氣陳登], 호노[楛砮], 호두[鄠杜], 호두수부[虎頭水府], 호두전신[虎頭傳神] (0) | 2025.05.23 |
호경[呼庚], 호계[壺界], 호계삼소[虎溪三笑], 호계평류[瓠繫萍流], 호공능축지[壺公能縮地] (0) | 2025.05.14 |
호가[壺歌], 호가[浩歌], 호가박[胡笳拍], 호가호위[狐假虎威], 호각지세[互角之勢] (1) | 2025.05.09 |
혜자[惠子], 혜장[蕙帳], 혜전탈우[蹊田奪牛], 혜주반[惠州飯], 혜초[蕙草], 혜화[蕙華] (0) | 2025.05.07 |
혜안[慧眼], 혜약[蕙若], 혜양[蕙纕], 혜요[彗妖], 혜원법사[慧遠法師], 혜위모[蕙爲茅]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