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지중[摯仲] 부덕(婦德)이 뛰어났던 문왕(文王)의 모후(母后)를 가리킨다. 그가 지(摯) 나라 임씨(任氏)의 중녀(仲女)였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 지중물[池中物] 승천(升天)하지 못하고 못에 처박혀 있는 용(龍)을 말한 것으로, 전하여 오래도록 뜻을 펴지 못하는 영웅(英雄)을 비유한 말이다.
❏ 지지[汦汦] 가지런한 모양, 정체되어 있는 모양.
❏ 지지[泜泜] 가지런한 모양.
❏ 지지[知止] 대학(大學)에 “마음의 동함을 그칠 줄 알라[知止].”고 하였다.
❏ 지지[持志] 맹자(孟子) 공손추 상(公孫丑上)에 “호연지기는 의리가 모아져서 생겨나는 것이니 의리를 갑자기 취해오는 것이 아니다.”하고, 또 “뜻은 기운의 장수이고 기운은 몸에 채운 것이다. 그런 때문에 뜻을 지키면서도 기운도 잘 길러야 한다.”고 하였다.
❏ 지지[枝指] 지지는 엄지손가락 옆에 손가락 하나가 따로 생긴 육손이를 말한다. <莊子 騈拇>
❏ 지지거노[遲遲去魯]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공자(孔子)가 노나라를 떠나려면서 이르기를 ‘더디고 더디어라, 나의 감이여.[遲遲吾行也]’라고 하였으니, 그것은 곧 부모의 나라를 떠나는 도리였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곧 부모가 있는 고향을 선뜻 떠나지 못함을 비유한 것이다. <孟子 萬章下>
❏ 지지부진[遲遲不進] 더디고 더뎌서 진척(進陟)이 되지 않음을 말한다.
❏ 지지불태[知止不殆] 적당한 선에서 욕심을 그칠 줄 알면 (내 몸이) 위태롭게 되지 않는다. <道德經 第44章>
❏ 지진[知津] 자주 떠돌아다니는 사람을 뜻한다. 공자가 채(蔡) 나라로 갈 적에 자로가 주위에서 밭을 갈고 있던 장저(長沮)와 걸익(桀溺)에게 나루터로 가는 길을 묻자, 장저가 공자를 가리키며 “저 사람은 나루터를 잘 알 것이다.”라고 하면서 공자가 자주 떠돌아다니는 것을 비꼬았다. <論語 微子>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허[支許]~지혐기기[地嫌忌器]~지환몽[持環夢]~지훈[箎壎]~지희당[至喜堂] (0) | 2020.10.15 |
---|---|
지하랑[地下郞]~지하의[芰荷衣]~지학[志學]~지해[至醢]~지행선[地行仙] (0) | 2020.10.15 |
지피삼성어[持被三省語]~지피어자[持被語刺]~지필화연기가마[舐筆和鉛欺賈馬] (0) | 2020.10.14 |
지탁잠필[持橐簪筆]~지통재종팽[至痛在宗祊]~지투기방[止鬪箕邦]~지편옥검[芝編玉檢] (0) | 2020.10.14 |
지척[咫尺]~지천명[知天命]~지천사어[指天射魚]~지초북행[至楚北行]~지치득거[舐痔得車] (0) | 2020.10.14 |
지주[砥柱]~지주단[砥柱湍]~지주비[砥柱碑]~지주산[砥柱山]~지주시[止酒詩] (0) | 2020.10.14 |
지제[質劑]~지제오치진[芝製汚緇塵]~지조나여악[鷙鳥那如鶚]~지종인[指蹤人] (0) | 2020.10.14 |
지저뢰[地底雷]~지전[箈錢]~지전[紙錢]~지전간[紙田墾]~지정우[池淨友] (0) | 2020.10.14 |
지자요수[智者樂水]~지자호반[地字號飯]~지작[鳷鵲]~지장기마[知章騎馬] (0) | 2020.10.13 |
지음유삼익[知音有三益]~지이간산[支頤看山]~지익손[知益損]~지인지감[知人之鑑] (0) | 2020.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