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중맹유상[衆盲喩象] 코끼리를 불성(佛性)에 비유하고 소경을 무명(無明)의 중생에 비유하여 중맹상(衆盲象)의 지체(肢體)를 더듬어서 여러 가지를 풀이해주는 것을 말한 것이다.
❏ 중묘[衆妙] 오만 가지 묘리(妙理)로서 즉 도(道)를 의미한 것이다.
❏ 중방제결[衆芳鶗鴂] 온갖 꽃이 시드는 처량한 시절이라는 말이다. 제결(鶗鴂)은 두견새로 이 새가 울면 꽃이 시든다고 한다.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恐鶗鴂之先鳴兮 使百草爲之不芳”이라 하였고, 백거이(白居易)와 소식(蘇軾)의 시에도 각각 “殘芳悲鶗鴂”과 “只恐先春鶗鴂鳴”이라는 표현이 있다. <白樂天詩集 卷16 東南行 一百韻·蘇東坡詩集 卷8 和致仕張郞中春晝>
❏ 중보잠모교탈진[仲父潛謀巧奪秦] 진(秦) 나라 여불위(呂不韋)가 저의 아이를 밴 첩을 진왕(秦王)에게 바쳐서 낳은 아들이 곧 진시황(秦始皇)이란 말이 있다. 진 나라에서 여불위를 높여서 중보(仲父)라 하였다.
❏ 중봉[重峯] 중봉은 조헌(趙憲)의 호이다.
❏ 중부[仲孚] 고려 때의 문신인 정포(鄭誧)의 자이다. 정포가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로 있으면서 악정(惡政)을 상소했다가 울산(蔚山)에 유배된 적이 있었고, 그는 특히 시문(詩文)·서예(書藝)에 모두 뛰어났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성[中星]~중성[中聖]~중소운망서[重霄霣望舒]~중수[中壽]~중승[中丞] (0) | 2020.10.05 |
---|---|
중선[仲宣]~중선금[仲宣襟]~중선등루[仲宣登樓]~중선루[仲宣樓] (0) | 2020.10.05 |
중서군[中書君]~중서삼책[仲舒三策]~중서자[中庶子]~중석[重席]~중석몰촉[中石沒鏃] (0) | 2020.10.05 |
중산참방[中山讒謗]~중상모략[中傷謀略]~중상서[中尙書]~중상지기[仲翔知己] (0) | 2020.10.05 |
중산[中山]~중산[中散]~중산국[中山國]~중산의갈부[中山衣褐夫] (0) | 2020.10.05 |
중루점괴후[中壘占乖候]~중류격즙[中流擊楫]~중류공석위산하[中流空惜魏山河] (0) | 2020.10.05 |
중려[重黎]~중련[仲連]~중련지도해[仲連之蹈海]~중령군[中領軍] (0) | 2020.10.05 |
중랑원[中郞願]~중랑지절[中郞持節]~중랑초미금[中郞焦尾琴]~중랭[中冷] (0) | 2020.10.04 |
중도관[中都官]~중동[重瞳]~중동[仲冬]~중랑녀[中郞女]~중랑아대[中郞阿大] (0) | 2020.10.04 |
중니광야[仲尼曠野]~중니칭기과[仲尼稱其果]~중니탄서수[仲尼嘆逝水]~중당[中唐] (0) | 2020.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