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주송[朱松] 주희(朱熹)의 부친이다.
❏ 주송남양[主送南陽] 주는 남편이고 남양은 남양천(南陽阡)으로 무덤을 말한다.
❏ 주송심[周宋鐔] 제왕의 칼, 즉 상방검(尙方劍)을 가리킨다. 천자의 칼로 말하면, 칼날과 손잡이 사이의 공간을 주 나라와 송 나라로 삼는다.[天子之劍 周宋爲鐔]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莊子 說劍>
❏ 주수[晝繡] 주금(晝錦)과 같은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가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주수명송[周受命頌] 주(周) 나라의 수명송(受命頌). 당 고종(唐高宗)의 후비(后妃)인 측천 무후(則天武后)가 예종(睿宗)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라 국호를 주(周)라 참칭했는데, 이때 진자앙(陳子昻)이 주 나라가 천명(天命)을 받았다는 내용과 송(頌)을 지었다.
❏ 주수수구[走獸首丘] 회남자(淮南子) 설림(說林)에 “새는 날아 고향으로 돌아가고, 토끼는 뛰어 굴로 돌아가며, 여우는 죽을 때 언덕으로 머리 둔다.[狐死首丘]”고 하였다.
❏ 주숙진[朱淑眞] 송(宋) 나라 때의 여류 시인으로서 학식이 뛰어났으나, 불행히 시정(市井)의 민가(民家)에 시집을 가서 뜻을 얻지 못해 우울함 속에서 특히 우원(憂怨)의 시를 많이 읊었다 한다.
❏ 주승[朱勝] 승(勝)은 수식(首飾)인데 맨드라미꽃이 붉으므로 한 말이다.
❏ 주시[周詩] 시경(詩經) 대아(大雅) 숭고(崧高)를 말한다.
❏ 주시응적[周詩膺狄] 시경(詩經) 노송(魯頌)의 비궁(閟宮)을 가리킨다. 비궁은 천자가 군대를 출동하여 융적을 정벌하는 것을 읊은 시로, 그 시에 “융적을 이에 막으며, 형서를 이에 징계하도다.[戎狄是膺 荊舒是懲]”라고 하였다.
❏ 주시풍아[周詩風雅] 주시는 시경(詩經)이며, 풍은 국풍(國風)이고, 아는 소아(小雅)와 대아(大雅)를 말한다.
❏ 주실[朱實] 신목(神木)에 열린다는 붉은 색 열매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읍동향[朱邑桐鄕]~주의목언[周疑木偃]~주의투약[朱衣投藥]~주일삼접[晝日三接] (0) | 2020.09.27 |
---|---|
주우[周牛]~주운선[酒運船]~주운참녕[朱雲斬佞]~주유갑[珠襦匣]~주유하호맹가기[酒有何好孟嘉嗜] (0) | 2020.09.27 |
주옹주금유[朱翁晝錦遊]~주왕부결[周王俯結]~주왕팔준구[周王八駿驅] (0) | 2020.09.27 |
주언륜[周彦綸]~주여[朱呂]~주연[胄筵]~주옥[珠玉]~주옥기무경[珠玉豈無脛] (0) | 2020.09.27 |
주아부[周亞夫]~주안[鑄顔]~주애[朱崖]~주애수결신[朱崖受玦辰] (0) | 2020.09.27 |
주선왕[周宣王]~주성[酒聖]~주성[酒星]~주성치백[周成褫魄] (0) | 2020.09.27 |
주사단조[柱史丹竈]~주사예[周史裔]~주사직[朱絲直]~주산자해[鑄山煮海]~ (0) | 2020.09.27 |
주복[疇福]~주복문자[拄腹文字]~주부단참군장[主簿短參軍長]~주불차전[籌不借前] (0) | 2020.09.27 |
주미[麈尾]~주방[肘方]~주백아려[主伯亞旅]~주번[朱轓]~주보언[主父偃] (0) | 2020.09.27 |
주묵사[朱墨史]~주묵필[朱墨筆]~주문[朱門]~주문연[主文硏]~주문욱욱[周文郁郁] (0) | 202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