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주복[疇福] 홍범구주(洪範九疇)에 나오는 다섯 가지 복, 즉 오래 사는 것[壽], 부유함[富], 안락함[康寧], 미덕을 닦는 것[攸好德], 늙어서 죽는 것[考終命]을 말한다.
❏ 주복문자[拄腹文字] 소식(蘇軾)의 시원전다시(試院煎茶詩)에 “창자와 배를 채울 만한 문자 오천권은 필요 없고 항상 충분히 자고 해 높이 올랐을 때 차 한 잔만을 바라노라.[不用撑腸拄腹文字五千卷 但願一甌常及睡足日高時]”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주부단참군장[主簿短參軍長] 주부와 참군은 진(晉) 나라의 왕순(王珣)과 치초(郗超)를 가리킨다. 왕순이 주부(主簿)가 되고 치초가 기실참군(記室參軍)이 되었는데, 왕순은 키가 작고 치초는 수염이 길었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말하기를 “수염이 긴 치초와 키가 작은 왕순은 능히 영공(令公)을 기쁘게도 하고 노하게도 한다.”고 하였다. <世說新語>
❏ 주불도유령분상토[酒不到劉伶墳上土] 술을 매우 좋아한 유영(劉伶)이었지만 한번 죽은 후에는 술을 마실 수 없다는 뜻이다. 유영은 완적(阮籍)·혜강(嵇康) 등과 함께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하나였는데, 진(晉) 나라 사람으로 술을 좋아하여 항시 술병을 휴대하고 다녔으며, 사람을 시켜 삽을 메고 따라다니게 하면서 “내가 죽으면 묻어달라.”고 하였다. <晉書 卷四十九 劉伶傳>
❏ 주불차전[籌不借前] 당 현종(唐玄宗) 때의 재상 송경(宋璟)의 경륜이 장량(張良) 보다 훌륭하다는 뜻이다. 젓가락을 빌린다는 말은 한 고조(漢高祖)의 밥상에 놓인 젓가락을 빌려서 일의 가부를 주결(籌決)하겠다던 장량(張良)에게서 나온 말이다. <漢書 卷四十 張良傳>
❏ 주사[主司] 장시관(掌試官)을 가리킨다.
❏ 주사[柱史] 주사(柱史)는 주하사(柱下史)의 약칭으로 즉 주하사 벼슬을 지낸 노자(老子)를 가리킨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언륜[周彦綸]~주여[朱呂]~주연[胄筵]~주옥[珠玉]~주옥기무경[珠玉豈無脛] (0) | 2020.09.27 |
---|---|
주아부[周亞夫]~주안[鑄顔]~주애[朱崖]~주애수결신[朱崖受玦辰] (0) | 2020.09.27 |
주송심[周宋鐔]~주수[晝繡]~주수명송[周受命頌]~주시응적[周詩膺狄] (0) | 2020.09.27 |
주선왕[周宣王]~주성[酒聖]~주성[酒星]~주성치백[周成褫魄] (0) | 2020.09.27 |
주사단조[柱史丹竈]~주사예[周史裔]~주사직[朱絲直]~주산자해[鑄山煮海]~ (0) | 2020.09.27 |
주미[麈尾]~주방[肘方]~주백아려[主伯亞旅]~주번[朱轓]~주보언[主父偃] (0) | 2020.09.27 |
주묵사[朱墨史]~주묵필[朱墨筆]~주문[朱門]~주문연[主文硏]~주문욱욱[周文郁郁] (0) | 2020.09.27 |
주명[朱明]~주명절[朱明節]~주무비음우[綢繆備陰雨]~주무종[珠無踵]~주묵[朱墨] (0) | 2020.09.27 |
주리[珠履]~주리삼천객[珠履三千客]~주마가편[走馬加鞭]~주맹[主孟] (0) | 2020.09.27 |
주령[酒令]~주로[朱鷺]~주류[肘柳]~주륜취개[朱輪翠蓋]~주륜화곡[朱輪華轂] (0) | 2020.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