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정절[旌節] 높은 무관(武官)은 깃발과 절(節)을 들고 출입한다.
❏ 정절[旌節] 당 나라 때 천자가 절도사(節度使)에게 지방행정의 전권을 부여하는 뜻으로 주는 두 종류의 깃발로 왕의 명을 받고 나온 사자를 뜻한다.
❏ 정절[靖節] 진(晉)의 고사(高士) 도잠(陶潛)의 사시(私諡)이다. 그는 팽택령(彭澤令)으로 있다가 벼슬을 버리고 전원으로 돌아오면서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었으며 시주(詩酒)로 한가하게 여생을 보냈다. <晉書 陶潛傳>
❏ 정절동고소[靖節東臯嘯] 도연명(陶淵明)의 시호. 그의 귀거래사(歸去來辭)의 “동편 언덕에 올라 멋대로 휘파람 분다.[登東皐而舒嘯]”는 구절을 이른다.
❏ 정절망산도[靖節望山圖] 정절망산도는 시호가 정절인 동진(東晉) 때의 고사(高士) 도잠(陶潛)이 남산(南山)을 관망하는 것을 묘사한 그림을 말한다. 도잠이 일찍이 팽택령(彭澤令)으로 있을 적에 독우(督郵)가 그곳에 이르자, 아전이 도잠에게 의관을 갖추고 독우를 보아야 한다고 하므로, 도잠이 탄식하기를 “내가 오두미(五斗米) 때문에 그런 향리 소인(鄕里小人)에게 허리를 굽힐 수 없다.”고 하고는, 당장 인끈을 풀어 던지고 고향으로 돌아와 종신토록 은거하였다.
❏ 정절삼경[靖節三徑] 정절은 도잠의 시호이다. 그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삼경(三徑)은 묵었지만 송국(松菊)은 여전하구나.”라고 하였는데, 삼경은 세 곳의 오솔길이다.
❏ 정절족복공속[鼎折足覆公餗] 일국의 대신이 어진 인재를 기용하여 국가 정무를 잘 수행하는 자기 직분을 다하지 못하고 소인배와 가까이 지내면 국가를 망치고 자신에게도 죄가 돌아온다는 비유이다. <易經 卷5 鼎>
❏ 정절집[靖節集] 도연명의 문집. 도연명의 시호가 정절이므로 ‘정절집’이라 한다.
❏ 정절책자[靖節責子] 정절은 동진(東晉) 때의 고사 도잠(陶潛)의 시호이다. 도잠이 불초한 다섯 아들을 나무란 시에 “두 귀밑은 이미 백발이 되었고 몸뚱이도 건강하지 못한데, 다섯 사내아이가 있기는 하나 모두가 지필을 좋아하지 않네 …… 천운이 진실로 이러하다면 오직 술이나 마셔야지.[白髮被兩鬢 肌膚不復實 雖有五男兒 總不好紙筆 …… 天運苟如此 且進杯中物]”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陶淵明集 卷三 責子>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태복[鄭太卜]~정파[正葩]~정팽제언[鼎烹齊偃]~정평[正平]~정포객[鄭圃客] (0) | 2020.09.19 |
---|---|
정책국로[政策國老]~정첨윤[鄭詹尹]~정충[精忠]~정칙[正則]~정침[頂鍼] (0) | 2020.09.19 |
정진[征塵]~정진리[鼎津鯉]~정채[丁蔡]~정채[淨債] (0) | 2020.09.19 |
정조합[精粗合]~정종명[鼎鐘銘]~정중지와[井中之蛙]~정중폭죽[庭中爆竹] (0) | 2020.09.19 |
정정[停停]~정정[定鼎]~정정[棖棖]~정정벌목성[丁丁伐木聲] (0) | 2020.09.19 |
정장[靚粧]~정장[亭長]~정저지와[井底之蛙]~정전[筳篿]~정전백[庭前栢] (0) | 2020.09.18 |
정자[靜者]~정자[程子]~정자산[鄭子産]~정자진[鄭子眞] (0) | 2020.09.18 |
정일[精一]~정일방구[正日放鳩]~정일변미위[虞精一辨微危] (0) | 2020.09.18 |
정위조[精衛鳥]~정유상곡생표상[庭有桑穀生表祥]~정이[鼎彝]~정이불박[精而不博] (0) | 2020.09.18 |
정위[庭闈]~정위[精衛]~정위[廷尉]~정위다음분[鄭衛多淫奔]~정위전해[精衛塡海]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