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寄西峰僧[기서봉승] 서쪽 봉우리의 스님에게

 

- 張籍[장적] -

 

松暗水涓涓[송암수연연] 어둑한 솔숲에 물소리 졸졸졸

夜涼人未眠[야량인미면] 서늘한 밤기운에 잠 못 드는데

西峰月猶在[서봉월유재] 서산에 달은 아직 그대로 있어

遙憶草堂前[요억초당전멀리 그대 초당이 아련 그리워

 

<寄西峰僧기서봉승 / 서쪽 산의 스님에게 부치다>

 


장적[張籍] 당나라 때의 시인으로 자()는 문창(文昌)이다. 원적은 오군(吳郡: 소주蘇州)이지만 어렸을 때 화주(和州) 오강(烏江)으로 옮겨 살았다. 한유(韓愈)의 후원으로 정원(貞元) 15년에 진사가 되어, 태상사태축(太常寺太祝), 비서랑(秘書郞), 국자박사(國子博士) 등에 제수되었다. 수부원외랑(水部員外郞), 국자사업(國子司業)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으므로 장수부(張水部) 또는 장사업(張司業)이라 칭하였다. 한유(韓愈), 백거이(白居易), 원진(元稹) 등과 교유하였으며, 악부시(樂府詩)에 능하여 왕건(王建)과 함께 장왕악부(張王樂府)라고 칭하기까지 하였다. 현전하는 시 418수 중 70~80수가 악부시이며, 전쟁의 비정함과 전란 속에 겪는 백성들의 고난을 사실적으로 잘 그렸다. 새하곡(塞下曲), 정부원(征婦怨), 채련곡(采蓮曲), 강남곡(江南曲) 등이 대표작으로 전하며, 그의 작품들은 목탁집(木鐸集) 12, 장사업집(張司業集) 8, 장문창문집(張文昌文集) 4권 등으로 편찬되었다. 한유(韓愈)의 시 조장적(調張籍)그대에게 하늘을 나는 노을을 빌려, 나와 더불어 하늘을 오르내리리[乞君飛霞佩, 與我髙頡頏.]”라고 하였다.

장적[張籍] () 나라 때의 시인이다. ()가 문창(文昌)으로 화주(和州) 오강(烏江) 사람이라고도 하고, 소주(蘇州) 사람이라고도 한다. 성질이 강직하였으며 악부시(樂府詩)를 잘하였다. 맹교(孟郊)의 소개로 한유(韓愈)를 만났으며, 한유의 추천을 통해 진사가 되었다. 수부원외랑(水部員外郞)과 태상시태축(太常寺太祝)을 지냈다. 백거이(白居易)와 오랜 친교를 통해 서로의 창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장적이 장안(長安)에서 태상사대축(太常寺大祝)으로 있을 때 녹봉(祿俸)이 박하여 빈궁한데다가 눈병마저 앓아 거의 실명(失明)의 지경에 이르렀다. 이때 장안으로 돌아온 그의 벗 이고(李翶)를 통해 절동도단련사(浙東都團練使) 겸 어사중승(御史中丞) 이손(李遜)에 대해 듣고는 그에게 의탁하고자 하여, 한유에게 대신 편지를 써주기를 부탁하였다. 이에 한유(韓愈)가 눈병을 앓아 시력을 잃은 장적(張籍)을 대신하여 이손(李遜)에게 자천(自薦)하는 내용으로 쓴 편지인 대장적여이절동서(代張籍與李浙東書)절수(折水)의 동쪽 7개 주()는 호수(戶數)가 수십만을 밑돌지 않으니, 눈이 멀지 않은 자가 어찌 한량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이 중승(李中丞)께서는 인물을 취할 때 진실로 응당 어진 여부를 따질 것이지, 눈이 멀었는지 멀지 않았는지는 따지지 않을 것입니다. 현재 마음의 눈이 먼 자는 모두 이와 같은데, 저로 말하면 스스로 생각하기를 유독 눈은 멀었지만 마음은 능히 시비를 분별할 수 있다고 여깁니다[浙水東七州 戶不下數十萬 不盲者何限 李中丞取人 固當問其賢不賢 不當計盲與不盲也 當今盲于心者皆是 若籍自謂獨盲于目爾 其心則能別是非]”라고 하였다.

연연[涓涓] 시냇물 따위의 흐름이 가늚. 물이 졸졸 흐르는 모양.

요억[遙憶] 멀리서 생각하다. 멀리 떨어진 곳의 상황을 상상하다. 요상(遙想). 면상(緬想). 면억(緬憶). 원상(遠想).

초당[草堂] 집의 본채에서 따로 떨어진 곳에 억새, 짚 등으로 지붕을 이어 만든 작은 집. 초가집. 누추한 집. 은사(隱士)가 거주하는 곳. 자기 집의 겸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