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자형[子荊] 자형(子荊)은 진(晉) 나라 손초(孫楚)의 자(字)로, 석포(石苞)의 휘하에서 군사(軍事)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두보(杜甫)의 시에 “記室得何遜 韜鈐延子荊”이라는 구절이 있다.
❏ 자형수[紫荊樹] 형제들끼리 서로 우애함을 이름. 옛날 전진(田眞)이란 사람의 형제 세 사람이 재산을 똑같이 나누고 나니, 당전(堂前)에 자형수(紫荊樹) 한 그루만이 남았으므로, 세 사람이 이를 세 조각으로 나누어 갖기로 합의를 하고, 다음날 그 나무를 자르려고 가보니, 나무가 마치 불에 탄 것처럼 말라 있었다. 그러자 전진이 크게 놀라 아우들에게 말하기를 “나무가 본디 한 그루인데 장차 쪼갠다는 말을 듣고 이 때문에 말라 버린 것이니, 우리는 나무만도 못하다.”하고, 다시 그 나무를 베지 않기로 하니 나무가 그 즉시 잎이 무성해졌다. 형제들이 거기에 감동하여 다시 재산을 합해서 삶으로써 마침내 효우(孝友)의 가문이 되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續齊諧記 紫荊樹>
❏ 자형절[紫荊折] 자형의 아픔. 전씨(田氏) 형제 세 사람이 재산을 분배하면서 뜰에 서 있는 자형(紫荊) 한 그루까지도 삼등분(三等分)하려 하자 나무가 말라죽는 것을 보고는 크게 깨달아 다시 형제의 우애를 되찾았다는 고사이다.
❏ 자형화[紫荊花] 자형화(紫荊花)는 곧 상체화(常棣花)인데, 꽃이 서로 뭉쳐 피므로 형제에게 비유된다. 남조(南朝) 양(梁) 나라 경조(京兆) 사람인 전진(田眞) 삼 형제가 각기 재산을 나누어 가지고 마지막으로 뜰에 심어놓은 자형화(紫荊花)를 갈라서 나누어 가지려 하니 자형화가 곧 시들었다. 삼 형제가 이에 뉘우치고 다시 재산을 합하니, 자형화가 다시 무성하게 자랐다 한다. <績齊諧記 紫荊樹>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라설문[雀羅設門]~작라투[雀羅投]~작맹[雀盲]~작사도방[作舍道傍] (0) | 2020.09.05 |
---|---|
작가라[雀可羅]~작교선[鵲橋仙]~작기일고[作氣一鼓]~작두지장[斫頭之將] (0) | 2020.09.05 |
공허한 말은 쓸모가 없다/한비자/팔설/ (0) | 2020.09.04 |
자황론[雌黃論]~자황어[雌黃語]~자후우[子厚愚]~자휘[字彙]~자휴[恣睢] (0) | 2020.09.04 |
자호[紫狐]~자호필[紫毫筆]~자화경[子華輕]~자황[紫皇]~자황[訾黃] (0) | 2020.09.04 |
자항[慈航]~자허[子虛]~자허보경[紫虛寶經]~자허오유[子虛烏有]~자허자[子虛子] (0) | 2020.09.04 |
자하장[紫霞漿]~자하준[紫霞尊]~자학[字學]~자한[子罕] (0) | 2020.09.04 |
자하낭[紫荷囊]~자하배[紫霞盃]~자하비[子夏悲]~자하선인[紫霞仙人] (0) | 2020.09.04 |
자피[子皮]~자하[紫霞]~자하거[紫河車]~자하곡[紫霞曲] (0) | 2020.09.04 |
자포자기[自暴自棄]~자포파[紫袍把]~자표지문[赭豹之文] (0) | 202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