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육의[六義] 시경(詩經)의 풍(風)·아(雅)·송(頌)·부(賦)·비(比)·흥(興)을 말한다.
❏ 육일[六逸] 육일은 속세를 초월한 여섯 사람, 즉 조래산(徂來山)에 숨어 날로 술이나 마시며 지냈던 이백(李白)·공소보·한준(漢準)·배정(裵政)·장숙명(張叔明)·도면(陶沔)을 이르는데, 죽계육일(竹溪六逸)이라 호하였다. 공소보는 특히 일찍 벼슬길에 들어갔다가 뒤에 이회광(李懷光)의 반군(叛軍)에 의해 살해되었다. <唐書 卷一百六十三>
❏ 육일거사[六一居士] 육일거사는 구양수(歐陽修)의 호(號)인데, 거문고·책 등 다섯 가지에 자기 몸을 합하여 육일(六一)이라 칭하였다.
❏ 육일옹[六一翁] 송(宋) 나라 때 별호가 육일거사(六一居士)인 구양수(歐陽脩)를 이른다. 즉 장서(藏書) 1만 권, 집고록(集古錄) 1천 권, 거문고 1장(張), 바둑판 1국(局), 술 1호(壺)와 구양수 1노(老)를 합해서 육일(六一)이라 자호했는데, 취옹정(醉翁亭)은 바로 구양수의 정자 이름이었다.
❏ 육자[陸子] 다경 삼편(茶經三篇)의 저자로서, 다성(茶聖) 혹은 다신(茶神)의 칭호를 받았던 당(唐) 나라의 육우(陸羽)를 가리킨다.
❏ 육자[六齍] 육자는 육자(六粢)로 서(黍)·직(稷)·도(稻)·양(粱)·맥(麥)·과(苽)를 가리키는데 모두 제수(祭需)이다
❏ 육자[六子] 팔괘(八卦)의 건(乾)·곤(坤)을 제한 6괘. 곧 감(坎 물), 이(离 불), 간(艮 산), 태(兌 못), 손(巽 바람), 진(震 천둥)인데, 건(乾)은 아비요, 곤(坤)은 어미요, 진·감·간은 삼남(三男)이요, 손·이·태는 삼녀(三女)이다.
❏ 육자다[陸子茶] 육자는 평생 차[茶]를 좋아하여 다경(茶經) 3편을 짓고 다신(茶神)으로 불렸던 당 나라의 육우(陸羽)를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통[六通]~육통창광[陸通猖狂]~육평천[陸平泉]~육합[六合]~육핵[六翮] (0) | 2020.08.20 |
---|---|
육취[六趣]~육친[六親]~육침[陸沈]~육태사[六大師]~육태식[六太息] (0) | 2020.08.20 |
육착[六鑿]~육척여[六尺輿]~육천[六天]~육축[六畜]~육출기계[六出奇計] (0) | 2020.08.20 |
육조[六朝]~육지[肉芝]~육진[六塵]~육진[肉陣] (0) | 2020.08.20 |
육적[六籍]~육적회귤[陸績懷橘]~육정[戮丁]~육정신[六丁神] (0) | 2020.08.20 |
육요[六要]~육욕[六欲]~육용[六用]~육우[陸羽]~육원중[陸原仲] (0) | 2020.08.20 |
육영[六英]~육예[六禮]~육예자퇴비[六鶂自退飛]~육오[六鰲] (0) | 2020.08.20 |
육안구[六眼龜]~육안승[六安丞]~육언[六言]~육여[六如] (0) | 2020.08.20 |
육신대사[肉身大士]~육실[六實]~육심[陸沈]~육아시[蓼莪詩] (0) | 2020.08.20 |
육시[六時]~육시[六詩]~육시천악[六時天樂]~육식인[肉食人]~육식지후[肉食之侯] (0) | 202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