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오매[烏昧] 고사리의 이칭. 오매초(烏昧草). 송(宋)의 범중엄(范仲淹)이 강회(江淮) 지대를 안무시키고 돌아와서 가난한 백성들이 먹고 있는 오매초(烏昧草)를 올리면서, 그것을 육궁(六宮)의 척리(戚里)들에게 보임으로써 사치를 억제하도록 하라고 하였다.<山堂肆考>
❏ 오매불망[寤寐不忘] 잠을 깨는 일과 잠을 자는 일[寤寐], 즉 자나 깨나 잊지 못한다는 데서, 늘 잊지 못함을 말한다.
❏ 오매사복[寤寐思服] 자나깨나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 오매초[烏昧草] 들보리의 일종이다. 송 나라 범중엄(范仲淹)이 강회(江淮)지방의 안무사(按撫使)로 나갔다가 조정에 돌아와 가난한 백성들이 먹고 사는 들보리를 천자에게 올리고, 그것을 육궁(六宮)의 귀족들에게 보여주어 사치를 억제하게 할 것을 청하였다는 데서 인용한 것이다. <山堂肆考>
❏ 오명[五明] 오명은 양(梁) 나라 때의 궁전(宮殿) 이름이다.
❏ 오명계[誤鳴鷄] 파리 소리를 닭이 우는 것으로 착각한 것을 말한다. <詩經 齊風 鷄鳴>
❏ 오모[烏帽] 평민이 쓰는 허름한 모자를 말한다.
❏ 오묘[五廟] 제후(諸侯) 나라의 사당. 천자(天子)의 나라는 칠묘(七廟)이다.
❏ 오묘[五畝] 오묘지택(五畝之宅)을 줄인 말로 농가(農家)의 한 단위(單位)를 뜻한다. <孟子 梁惠王 上>
❏ 오묘경상[五畝耕桑] 맹자(孟子) 양혜왕 상(梁惠王 上)에 “오묘의 집터에 뽕나무를 심는다.[五畝之宅 樹之以桑]”는 말을 인용한 것이다.
❏ 오묘지택[五畝之宅] 맹자(孟子) 양혜왕 상(梁惠王上)에 나오는 말로, 한 가족이 살 만한 땅과 집을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사[烏絲]~오사[五事]~오사[五蛇]~오사[五祀]~오사필의[吾事畢矣] (0) | 2019.06.27 |
---|---|
오부[五父]~오불관언[吾不關焉]~오불효[五不孝]~오비토주[烏飛兎走] (0) | 2019.06.26 |
오복[五福]~오복[五服]~오봉[梧鳳]~오봉루[五鳳樓] (0) | 2019.06.25 |
오방[烏榜]~오배신산[鰲背神山]~오백[五伯]~오백세금[五百裞金] (0) | 2019.06.24 |
오문금방[午門金榜]~오문은[吳門隱]~오미[五味]~오방[五坊] (0) | 2019.06.21 |
오마객[五馬客]~오만[烏蠻]~오만방자[傲慢放恣] (0) | 2019.06.19 |
오리[傲吏]~오리무중[五里霧中]~오리성은[傲吏成隱]~오립송[五粒松] (0) | 2019.06.18 |
오릉공자[五陵公子]~오릉사[於陵士]~오릉중자[於陵仲子] (0) | 2019.06.17 |
오류[五柳]~오류비[五柳扉]~오류선생[五柳先生]~오륜[五倫] (0) | 2019.06.14 |
오란[烏闌]~오령[五嶺]~오로봉[五老峯]~오룡[烏龍] (0) | 2019.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