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업장[業障] 불교에서 말하는 정도(正道)를 해치는 중생(衆生)의 탐욕(貪欲)·진혜(瞋恚) 등을 말한다.
❏ 업중[業中] 남자 무당을 가리키는 말이다.
❏ 업중재자[鄴中才子] 조조(曹操)의 아들이요, 조비(曹丕)의 동생인 조식(曹植)을 가리킨다. 삼국 시대 위(魏) 나라의 수도가 업(鄴)이었기 때문에, 보통 위 나라를 업중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 업중적[鄴中賊] 조조(曹操)를 가리킨다. 조조가 업성(鄴城)에 도읍을 정하였다.
❏ 업풍[業風] 불교 용어로, 선악(善惡)의 업(業)이 바람과 마찬가지로 사람으로 하여금 삼생(三生)을 윤회하게 한다는 뜻이다. 또는 절 안에 부는 바람을 말한다.
❏ 업하[鄴下] 삼국 때 조조(曹操)의 도읍. 지금 하남성 임장현(臨漳縣). 서쪽에 고성(故城)이 있다.
❏ 업화[業火] 이 세상에 이욕(利慾)으로 속이 타는 것을 모두 업화(業火)라고 한다.
❏ 업후[鄴候] 당 나라 업현후(鄴縣侯)에 봉해졌던 당(唐) 나라 이필(李泌)을 가리킨다. 그의 서가에 3만 권의 책이 꽂혀 있었으므로 장서가(藏書家)를 이야기할 때 곧잘 인용된다.
❏ 업후[鄴侯] 업후는 당(唐) 이필(李泌)의 봉호이다. 그의 아버지 승휴(承休)가 2만여 권의 서책을 모아서 자손에게 물려주었다고 한다. <鄴侯家傳>
❏ 업후삼만축[鄴侯三萬軸] 당(唐) 나라 업후(鄴侯) 이필(李泌)이 집에 장서(藏書)가 많았는데, 한퇴지(韓退之)의 시에 “업후의 집에 책이 많아 3만 축을 시렁에 꽂았네.”라는 글귀가 있다.
❏ 업후서[鄴候書] 업후(鄴候)는 당(唐)의 이필(李泌)을 말한다. 이필의 아버지 이승휴(李承休)가 대단한 부호로서 2 만여권의 장서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장서가 많은 것을 업후서(鄴候書)라고 한다. <唐書 李泌傳>
❏ 업후장[鄴侯藏] 업후(鄴侯)는 당(唐) 나라 이필(李泌)의 아버지인 이승휴(李承休)의 봉호이다. 이승휴의 장서(藏書)가 2만여 권이나 되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년[驢年]~여도지죄[餘桃之罪]~여동진퇴문동파[女童進退問東坡] (0) | 2017.08.28 |
---|---|
여기[女岐]~여남려봉안자[汝南旅逢顔子]~여남현[汝南賢] (0) | 2017.08.25 |
여고획[如皐獲]~여과아천[女戈丫川]~여구곡[驪駒曲] (0) | 2017.08.24 |
여건도[呂虔刀]~여경덕조린[餘慶德照隣]~여계선성새상소[厲階先成塞上酥] (0) | 2017.08.23 |
여[女]~여가[黎家]~여갱[藜羹] (0) | 2017.08.21 |
업가[鄴架]~업성[鄴城]~업와[鄴瓦] (0) | 2017.08.11 |
엄준[嚴遵]~엄중적[淹中籍]~엄화[罨畫] (0) | 2017.08.10 |
엄자릉[嚴子陵]~엄조[嚴助]~엄종[嚴終] (0) | 2017.08.09 |
엄억[掩抑]~엄여하일[嚴如夏日]~엄인[閹人] (0) | 2017.08.08 |
엄목포작[掩目捕雀]~엄서[嚴徐]~엄안[嚴顔] (0) | 2017.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