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양상[樑上] 양상군자(梁上君子)의 약칭으로 도적을 지칭한 것이다. 후한(後漢) 진식(陳寔)이 태구장(太丘長)으로 있을 적에 밤에 도적이 그 실내에 들어가 들보 위에 숨어 있었다. 진식은 가만히 보고서 자손(子孫)을 훈계하기를 무릇 사람이 스스로 힘쓰지 않아서는 안 된다. 착하지 못한 사람도 본시 악한 것이 아니고 버릇이 습성화되어서 마침내 그렇게 된 것이니, 저 양상(樑上)의 군자도 이와 같다.”고 하니 도둑이 듣고 놀라서 땅에 떨어졌다고 한다.

양상객[梁上客] 도둑을 이른다. 후한 때 진식(陳寔)이 어느 날 밤에 자기 집 들보 위에 도둑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자손들을 불러 놓고 이르기를 사람은 본래부터 악한 것이 아니라 습관에 따라 악인이 되는 것이니, 저 들보 위의 군자가 바로 그런 사람이다.”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양상군자[梁上君子] 들보 위의 군자(君子)라는 뜻으로, 도둑을 점잖게 일컫는 말. 후한(後漢) 사람 이식(李寔)이 밤에 들보 위에 있는 도둑을 발견하고 자손들을 불러 사람은 본래부터 악한 것이 아니라 나쁜 습관 때문에 악인이 되는 법이니, 저 들보 위의 군자가 곧 그러니라. 하며 들보 위의 도둑을 가리키니, 그 도둑이 크게 놀라 사죄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서 진식전>

양상도회[梁上塗灰] 들보 위에 회를 바른다. 여자가 얼굴에 화장을 너무 짙게 함을 비웃는 말이다.

양생[兩生] 한 고조(漢高祖)가 숙손통(叔孫通)을 시켜서 예()를 제정하게 하였더니, 숙손통이 천하의 선비를 불렀는데 노() 나라의 두 선비[兩生]가 부름에 응하지 아니하며 말하기를 예악(禮樂)은 덕을 쌓은 지 백년이 되어야 일으킬 수 있는 것인즉, 지금은 전쟁이 겨우 끝나서 죽은 사람의 장사도 못 다하고 상이(傷痍)한 사람이 일어나지도 못했는데 무슨 예악이냐.”라 하였다. 후세의 선비들이 이 두 선비를 참다운 선비라 한다.

양생[陽生] 동짓날에 양()이 처음 생기며 우레가 울기 시작하고, 날이 차차 따뜻해지기 시작한다.

양생읍로기[楊生泣路歧] 옛날 양주(楊朱)가 선()과 악()의 분기점에서 악의 길을 향하는 사람이 많은 것을 슬퍼하여 눈물을 흘렸던 楊朱泣歧의 고사를 인용한 것이다. <淮南子 說林訓>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