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양기[梁冀] 동한(東漢) 때의 권신(權臣)이다. 양기는 순제(順帝) 때 양 태후(梁太后)의 오빠로서 권력을 잡았으며, 순제가 죽은 뒤 질제(質帝)를 세웠다가, 질제가 미워하자 그를 독살한 다음 환제(桓帝)를 세웠다. 그런데 환제가 자라서는 양기가 발호하는 것을 미워하여 양기의 권력을 빼앗자 자살하였다. <後漢書 卷34 梁統列傳 梁冀>
❏ 양기[楊基] 자는 맹재(孟載), 호는 미암(眉菴). 시문과 서화에 능하였다.
❏ 양기[兩岐] 한 나라 장감(張堪)이 어양 태수(漁陽太守)로 가서 백성에게 농종(農種)을 가르쳐 해마다 풍년이 드니 백성들이 즐거워서 노래하기를 “桑無附枝 麥穗兩岐 張君爲政 樂不可支”라고 하였다. <後漢書 張堪傳>
❏ 양기설[養氣說] 맹자(孟子) 공손추 상(公孫丑上)에 “나는 남의 말을 잘 알며[知言] 나의 호연지기를 잘 기른다.[我知言 我善養吾浩然之氣]”라고 보인다.
❏ 양기장[養氣章] 맹자(孟子) 공손추 상(公孫丑上)에 맹자가 “나는 남의 말을 잘 알며[知言] 나의 호연지기를 잘 기른다.[我知言 我善養吾浩然之氣]”라고 한 말을 가리킨다.
❏ 양노[楊盧] 양형과 노조린. 왕발(王勃)·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 사걸(初唐四傑)로 불린 당 나라의 문장가들이다.
❏ 양능[良能] 천연적으로 발로되는 지능을 말한다.
❏ 양능촉사[羊能觸邪] 옛날 뿔이 하나인 해태[獬豸]라는 신양(神羊)은 형벌을 알맞게 다스리는 임금의 조정에 나와서 정직하지 못한 자를 뿔로 들이받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리[楊李]~양린멱양[楊隣覓羊]~양마부[楊馬賦] (0) | 2017.05.17 |
---|---|
양락순갱[羊酪蓴羹]~양렴간[讓廉間]~양령오칠포[揚舲烏漆浦] (0) | 2017.05.15 |
양덕칠일래[陽德七日來]~양도부[兩都賦]~양득의[楊得意] (0) | 2017.05.12 |
양대[陽臺]~양대불귀지운[陽臺不歸之雲]~양대우[陽臺雨] (0) | 2017.05.11 |
양담루[羊曇淚]~양담불인과[羊曇不忍過]~양답채난번[羊踏菜難蕃] (0) | 2017.05.10 |
양군정[讓君情]~양귀[良貴]~양금택목[良禽擇木] (0) | 2017.05.04 |
양교[陽橋]~양구[羊裘]~양구수견자릉피[羊裘須遣子陵披] (0) | 2017.05.02 |
양곽[羊鞹]~양관무고인[陽關無故人]~양관삼첩가[陽關三疊歌] (0) | 2017.04.28 |
양공[梁公]~양공종옥[楊公種玉]~양공탄설[羊公炭屑] (0) | 2017.04.27 |
양계이간유묘격[兩階已看有苗格]~양고주[羊羔酒]~양곡훈[暘谷暈] (0) | 2017.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