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양계[兩戒] 당서(唐書) 천문지(天文志)온 천하에 산하(山河)의 형상이 두 경계[兩戒]에 달렸으니, 북쪽 경계는 융적(戎狄)까지 한계를 하였고, 남쪽 경계는 만이(蠻夷)까지 한계를 했다.”고 하였다.

양계이간유묘격[兩階已看有苗格] 우순(虞舜)이 두 섬돌 사이에서 간우(干羽)를 춤추자 유묘가 감복한 것을 가리킨다. 우순은 순 임금을 말하고, 간우는 방패와 깃털을 들고 춤을 추는 하 나라 무악(舞樂)의 이름이며, 유묘는 남방에 사는 오랑캐의 이름이다. 서경(書經) 우서(虞書)임금이 문교와 덕을 크게 펴고 방패와 새 깃을 들고 두 섬돌 사이에서 춤을 추자 70일 만에 유묘가 감복하였다.”라고 하였다.

양고주[羊羔酒] 미주(美酒)의 이름이다. () 나라 때 도곡(陶穀)이 당가(堂家)의 미희(美姬)를 얻어 살면서 겨울철에 설수(雪水)로 차를 끓이며 말하기를 당가에서도 이런 풍미(風味)를 알더냐?”하니, 미희가 대답하기를 저 추솔한 사람에게 어찌 이런 풍미가 있겠습니까. 다만 화류가(花柳家)에서 노래하며 양고주나 마실 뿐입니다.”라 하였다.

양곡[梁鵠] 동한(東漢) 때 사람. 자는 맹황(孟皇). 선부상서(選部尙書)를 지냈으며 팔분(八分)을 잘 썼다.

양곡[暘谷] 해가 돋는 곳을 말한다. 서경(書經) 요전(堯典)희중(羲仲)을 분명(分命)하여 우이(隅夷)에 택()하게 하니 이른바 양곡(暘谷)이다.”라고 하였고, 회남자(淮南子) 천문훈(天文訓)에는 해가 양곡(暘谷)에서 나와 함지(咸池)에서 목욕한다.”라고 하였다.

양곡우연[暘谷虞淵] 양곡(暘谷)과 우연(虞淵). 양곡은 전설 속에 나오는 해가 뜨는 곳이며, 우연은 해가 져서 들어가는 곳을 말한다. 회남자(淮南子) 천문훈(天文訓)해가 뜨는 곳을 양곡이라고 한다.” 하였고 해가 우연에 도달하는 것을 일러 황혼이라고 한다.” 하였다.

양곡훈[暘谷暈] 일출(日出) 직전 혹은 직후의 노을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양곡은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나오는 말로, 해가 뜨는 곳을 가리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