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액체[額體] 우리나라에서 행하던 서체(書體)의 이름이다. 고려 말에 원나라 승려 설암(雪巖)의 서체가 전하여 당액(堂額)에 많이 쓰이면서 이를 ‘액체’라 하였다 한다. 그러나 그때 우리나라에서는 설암이 누군지 잘 모르고 있었는데,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고증으로 그가 원나라의 승려로서 안진경(顔眞卿)의 전발(傳鉢)을 이어받은 명필임이 밝혀졌다.
❏ 액황[額黃] 얼굴 화장의 일종으로, 여자들이 이마 위에 노란색의 분을 칠하는 것을 말한다.
❏ 앵로[鸚鸕] 앵로는 술잔 이름인 앵무배(鸚鵡杯)와 노자표(鸕鶿杓)를 합칭한 말로, 당(唐) 나라 이백(李白)의 양양가(襄陽歌)에 “노자표여 앵무배여, 백 년 삼만육천 일에, 하루에 삼백 배씩 기울여야지.[鸕鶿杓鸚鵡杯 百年三萬六千日 一日須傾三百杯]”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앵록[鸚綠] 앵무새의 목털처럼 푸른 빛을 말한다.
❏ 앵림[鸎林] 꾀꼬리가 우는 깊은 숲 속이라는 뜻으로, 초야(草野)를 가리킨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벌목(伐木)에 “도끼 소리 쿵쿵, 새 소리 꾀꼴꾀꼴. 깊은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나무로 옮겨 가네.[伐木丁丁 鳥鳴嚶嚶 出自幽谷 遷於喬木]”라는 표현이 있다.
❏ 앵명[嚶鳴] 시경(詩經) 소아(小雅) 벌목(伐木)의 “짹짹거리는 새들이여, 벗을 찾는 소리로다.[嚶其鳴矣 求其友聲]”라는 구절에서 나온 것으로, 동류들끼리 의기투합해서 노래하는 소리를 말한다.
❏ 앵명가구[嚶鳴可求] 시경(詩經)에 “화답하는 그 울음, 그 벗을 구하는 소리로다.[瓔其鳴矣 求其友聲]”하였다<詩經 小雅 伐木>
❏ 앵명유감소[嚶鳴有感召] 시경(詩經) 소아(小雅) 벌목(伐木)에 “새들 서로 우짖나니, 벗을 찾는 소리로다.[嚶其鳴矣 求其友聲]”라는 말이 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유귀[揶揄鬼]~야은[冶隱]~야장하설본비고[冶長荷絏本非辜] (0) | 2017.04.07 |
---|---|
야설회선[夜雪回船]~야와부수[夜臥覆首]~야운거사[野雲居士] (0) | 2017.04.06 |
야도낭[夜度娘] ~야반유성[夜半踰城]~야반학이주[夜半壑移舟] (0) | 2017.04.05 |
야계녀[耶溪女]~야기[夜氣]~야기잠[夜氣箴] (0) | 2017.04.04 |
앵무노자[鸚鵡鸕鶿]~앵앵[嚶嚶]~앵출곡[鸎出谷] (0) | 2017.04.03 |
액궁서온복[額穹犀穩伏]~액완[扼腕]~액원[掖垣] (0) | 2017.03.30 |
애자광상[艾子匡床]~애지중지[愛之重之]~ 애훼[哀毁] (0) | 2017.03.29 |
애이불비[哀而不悲]~애인자인항애지[愛人者人恒愛之]~애일정[愛日情] (0) | 2017.03.28 |
애여장[艾如張]~애영[哀榮]~애오려[愛吾廬] (0) | 2017.03.27 |
애막조[愛莫助]~애서안영독[厓西雁影獨]~애애[曖曖] (0) | 2017.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