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식심방[息心方] 번뇌를 다스려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처방이라는 뜻이다. 중국 선종(禪宗)의 2조(祖)인 혜가(慧可)가 일찍이 달마(達摩)에게 불안한 마음을 다스리는 법을 청하자 달마가 그 불안해하는 마음을 가져오라고 하였는데, 혜가가 “아무리 찾아도 그 마음을 찾을 수 없다.[覓心了不可得]”고 하자 달마가 “너에게 이미 안심의 경지를 주었다.[與汝安心竟]”고 한 안심법문(安心法門)의 고사가 있다. <傳燈錄 卷3>
❏ 식암[息菴] 고려 중기의 문인인 이자현(李資玄)의 호이다. 전국의 명산을 유력하던 중 춘천(春川)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선학(禪學) 연구로 여생을 보냈다. 청평산에 그가 쓴 ‘청평식암(淸平息菴)’이라는 해서체의 글자가 남아 있다.
❏ 식암거사[息庵居士] 명 장대복(張大復)의 매화초당필담(梅花草堂筆談) 권5 거식암(居息庵)의 기록에 의하면 “내가 식암에 거처하고 있을 동안에는 목과 등이 나빠지지 않았다.[予所居息庵, 不減項脊]”라고 한 것으로 보아 식암거사는 바로 장대복임을 알 수 있다. 대복은 자가 원장(元長)이고 곤산(昆山) 사람이다. 저작에 곤산인물전(昆山人物傳), 명환전(名宦傳) 등이 있다. 염이편은 왕세정이 편집한 12권으로 된 당·송·명대(唐·宋·明代)의 전기체(傳奇體) 소설집으로 앞에는 식암거사의 소인(小引) 한 편이 있다.
❏ 식암자[息菴子] 벼슬을 버리고 문수사에 들어와 37년 동안 머물렀던 고려 이자현(李資玄)의 호이다. <金富軾 文殊院記>
❏ 식양[息壤] 식양은 저절로 불어난다는 신비한 흙이다. 식토(息土)와 같은 말로서 모손과 감소를 모르는 땅이다.
❏ 식양[息壤] 전국 때 진나라 령으로 지금의 섬서성 함양시 부근의 고을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가항만지유함[信可行蠻只有諴]~신각[申恪]~신계부긍명[晨鷄不肯鳴] (0) | 2016.10.21 |
---|---|
식형주[識荊州]~식형지원[識荊之願]~식회[植檜] (0) | 2016.10.20 |
식차거[識硨磲]~식초우[食草愚]~식토용건[拭吐龍巾]~식평[食苹] (0) | 2016.10.19 |
식장[植杖]~식장구[食場駒]~식재[息齋]~식지동[食指動] (0) | 2016.10.18 |
식언[食言]~식영[息影]~식우기[食牛氣]~식자우환[識字憂患] (0) | 2016.10.17 |
식불이미[食不二味]~식소사번[食少事煩]~식식[湜湜] (0) | 2016.10.12 |
식면정신[識面呈身]~식무어[食無魚]~식미지사[食薇志士] (0) | 2016.10.11 |
식객병주리[食客屛珠履]~식마간[食馬肝]~식마육불음주상인[食馬肉不飮酒傷人] (0) | 2016.10.10 |
시향토실옹[尸鄕土室翁]~시화연풍[時和年豊]~시후지보[市侯之寶] (0) | 2016.10.07 |
시표[詩瓢]~시한상[示韓湘]~시해도선[尸解逃禪] (0) | 2016.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