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식면정신[識面呈身] 식면은 얼굴을 서로 아는 사이를 말하고, 정신은 권력 있는 사람에게 자신을 천거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을 말하는데, 송(宋) 나라 때 손변(孫抃)이 어사중승(御史中丞)이 되어 평소 얼굴도 모르는 당개(唐介) 등을 천거하여 대관(臺官)으로 삼자, 혹자가 얼굴도 모르는 사람을 대뜸 천거하는 것이 무슨 까닭이냐고 물으니, 그가 대답하기를 “옛 사람은 정신어사(呈身御史)를 부끄럽게 여겼는데, 지금 어찌 식면대관(識面臺官)을 구해서 되겠는가.”라고 하였다.
❏ 식무어[食無魚] 맹상군(孟常君)의 식객(食客) 풍환(馮驩)이 노래하기를 “밥에 생선이 없네.[食無魚]”라 했다. 사기(史記) 실세(失勢)를 말한다.
❏ 식무육[食無肉] 소식(蘇軾)의 시에 “밥 먹을 때에 고기가 없을지언정 거처하는 곳에 대[竹]가 없을 수 없다.”고 하였다.
❏ 식미[式微] 시경(詩經) 패풍(邶風)의 편명(篇名)으로, 고국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읊은 시이다. 그 시에 “쇠미하고 쇠미하거늘 어찌하여 돌아가지 아니하는가.[式微式微 胡不歸]”라고 하였다. 옛날에 여후(黎侯)가 나라를 잃고 위(衛) 나라에 의탁해 있을 때 그를 수행한 신하들이 가엾은 처지를 슬퍼해서 지었다 한다.
❏ 식미지사[食薇志士] 고사리 먹는 지사(志士)는 주(周) 나라 곡식을 먹지 않고 고사리만 캐 먹다가 굶어 죽은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가리킨다.
❏ 식미편[式微篇] 시경(詩經) 패풍(邶風) 식미편은 여후(黎侯)가 나라를 잃고 위(衛) 나라에 우거(寓居)해 있자 그 신하가 여후를 위하여 지은 시라고 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차거[識硨磲]~식초우[食草愚]~식토용건[拭吐龍巾]~식평[食苹] (0) | 2016.10.19 |
---|---|
식장[植杖]~식장구[食場駒]~식재[息齋]~식지동[食指動] (0) | 2016.10.18 |
식언[食言]~식영[息影]~식우기[食牛氣]~식자우환[識字憂患] (0) | 2016.10.17 |
식심방[息心方]~식암거사[息庵居士]~식암자[息菴子] (0) | 2016.10.14 |
식불이미[食不二味]~식소사번[食少事煩]~식식[湜湜] (0) | 2016.10.12 |
식객병주리[食客屛珠履]~식마간[食馬肝]~식마육불음주상인[食馬肉不飮酒傷人] (0) | 2016.10.10 |
시향토실옹[尸鄕土室翁]~시화연풍[時和年豊]~시후지보[市侯之寶] (0) | 2016.10.07 |
시표[詩瓢]~시한상[示韓湘]~시해도선[尸解逃禪] (0) | 2016.10.06 |
시초[視草]~시초대[視草臺]~시편욕보망[詩篇欲補亡] (0) | 2016.10.05 |
시준골[市駿骨]~시진[時珍]~시천몽몽[視天夢夢] (0) | 2016.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