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순척[舜跖] 순(舜) 임금과 도척(盜跖)의 병칭이다. 맹자(孟子) 진심 상(盡心上)에 “닭이 울면 일어나서 부지런히 선행을 닦는 자는 순 임금의 무리요, 닭이 울면 일어나서 부지런히 이익만 생각하는 자는 도척의 무리이다.[鷄鳴而起 孶孶爲善者 舜之徒也 鶴鳴而起 孶孶爲利者 跖之徒也]”라는 말이 있다.
❏ 순체[筍彘] 한(漢) 나라 사람으로 대장군(大將軍) 위청(衛靑)을 따라 여러 번 흉노(匈奴)를 정벌하여 벼슬이 좌장군(左將軍)에 이르렀다.
❏ 순치[馴雉] 꿩을 길들이다. 지방관의 선정을 비유한 말. 후한(後漢) 때 노공(魯恭)이 중모령(中牟令)이 되어 선정을 베풀자, 뽕나무 밑에 길들은 꿩이 있는 상서가 있었던 데서 온 말이다. 후한 장제(章帝) 때에 각 지방의 벼가 멸구의 피해를 입었으나 노공(魯恭)이 수령으로 있는 중모(中牟) 지방은 아무렇지도 않다는 소문이 나자, 하남 윤(河南尹) 원안(袁安)이 감찰관 비친(肥親)을 보내 그 사실을 알아보게 하였다. 노공은 그를 맞아 함께 들길을 가다가 뽕나무 밑에 앉아 쉬고 있을 때 꿩이 날아와 그들의 곁에 앉았는데 때마침 아이가 함께 있었다. 비친이 아이에게 묻기를 “아이야, 왜 잡지를 않느냐?”하니, 아이가 “꿩은 지금 새끼를 데리고 있습니다.”하였다. 비친은 깜짝 놀라 일어나서 노공과 작별하며 말하기를 “내가 온 것은 당신의 정사 현황을 살펴보려 한 것인데, 이제 보니 해충이 고을을 범하지 않은 것이 하나의 이적(異迹)이고, 교화가 새짐승에게 까지 미친 것이 두 가지 이적이고, 어린아이가 어진 마음이 있으니 세 가지 이적입니다. 오래 머무르면 당신에게 폐만 끼칠 뿐입니다.” 하고, 돌아갔다 한다. <後漢書 卷二十五 魯恭傳>
❏ 순치[脣齒] 이곳이 포위당하면 저 곳도 위험한 것이 마치 입술과 이와 같은 관계라는 것이다. 입술이 결단나면 이도 결단난다는 말이다. 순망치한.
❏ 순치지국[脣齒之國] 입술과 이의 관계가 같은 나라. 곧, 이해관계가 아주 밀접한 나라를 말한다.
❏ 순치지세[脣齒之勢] 입술과 이와 같이 서로 의지하고 돕는 형세(形勢)를 말한다.
❏ 순칙부지식[順則不知識] 요 임금이 민정을 살피기 위해 미복 차림으로 길거리에서 노닐다가 동요를 들었는데, 그 동요에 “우리 백성들이 존립(存立)한 것은 그대가 세운 표준의 덕이었네. 이의할 줄 모르고 황제의 법만 순종한다네.”라고 하였다. <史略 卷 1>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가지[習家池]~습가촌풍류[習家村風流]~습감[習坎] (0) | 2016.08.18 |
---|---|
숭정년간사[崇禎年間事]~슬갑도적[膝甲盜賊]~슬하왕문도[膝下王文度] (0) | 2016.08.17 |
숭백[崇伯]~숭악[嵩嶽]~숭안책[崇安策] (0) | 2016.08.16 |
술수화룡신칭섭[術邃畫龍神稱葉]~숭강[崇岡]~숭란[崇蘭] (0) | 2016.08.12 |
순풍이호[順風而呼]~순해환유채란편[循陔還有采蘭篇]~순효칭봉인[純孝稱封人] (0) | 2016.08.11 |
순제갱가[舜帝賡歌]~순찬상생[荀粲傷生]~순찬포아[荀粲抱疴] (0) | 2016.08.09 |
순자격[循資格]~순절[諄切]~순절상호[順節桑扈] (0) | 2016.08.08 |
순원[巡遠]~순유[荀攸]~순일[盾日] (0) | 2016.08.05 |
순오냉연[旬五冷然]~순우기[珣玗琪]~순우분[淳于棼] (0) | 2016.08.04 |
순시[旬時]~순악문래동솔무[舜樂聞來同率舞]~순양[荀楊] (0) | 2016.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