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순풍이호[順風而呼]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소리를 지른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타서 일을 행하면 성사하기 쉬움을 비유한 말이다. <荀子>

순해지[循陔志] 어버이를 봉양하면서 지내려 했다는 말이다. 가사가 없어진 시경(詩經) 소아(小雅) 남해(南陔)의 보망시(補亡詩)남쪽 섬돌을 따라 올라가, 난초 캐어 어버이께 바쳐 올리리.[循彼南陔 言采其蘭]”라는 말이 나오는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순해환유채란편[循陔還有采蘭篇] 어버이에 대한 봉양도 잘 할 수 있으리라는 말이다. 가사가 없어져버린 시경(詩經) 소아(小雅) 남해(南陔)의 시를 진() 나라 속석(束晳)이 보완하여 만들었는데, 거기에서 남쪽 밭두둑 따라 난초를 캐네. 어버이 생각할 적마다 마음이 왜 이리 설레는지.[循彼南陔 言采其蘭 眷戀庭闈 心不遑安]”라고 하였다.

순화[順和] 시 제목을 그대로 따온 것은 그대로 화답한다.’는 뜻으로 순화라 하였다.

순회세자[順懷世子] 순회세자는 명종(明宗)의 아들로, 명종 12(1557)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호군(護軍) 윤옥(尹玉)의 딸과 가례(嘉禮)를 올렸는데, 얼마 되지 않아 후사도 보지 못한 채 계해년인 명종 18(1563)13세의 어린 나이로 죽었다.

순효일심절[舜孝一心切] 서경(書經) 우서(虞書) 요전(堯典)순 임금은, 아버지는 완악하고 후모(後母)는 어리석었으나, 능히 효도로써 화동케 하며 잘 다스려서, 간악한 지경에 이르지 않게 하였다.”는 대목을 인용한 말이다.

순효칭봉인[純孝稱封人] 봉인(封人)은 국경을 맡은 관직으로 춘추 시대 정()의 봉인 영고숙(穎考叔)을 가리킨다. 정 장공(鄭莊公)은 어머니 무강(武姜)과 사이가 나빴는데, 아우 태숙단(太叔段)을 시켜 반란을 도모하자 장공은 어머니와는 황천(黃泉)에서나 만나겠다.” 하고는 결별을 선언했었는데, 이 소식을 들은 영고숙은 장공을 찾아가 풍간하여 마침내 모자간의 정의를 되찾게 했으므로 군자들은 영고숙은 순수한 효도이다. 그 어머니를 사랑하여 장공에게까지 미쳤다.[穎考叔 純孝也 愛其母 施及莊公]”라고 하였다. <春秋左傳 隱公 元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