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사종곤슬유[嗣宗褌蝨喩] 편협한 견해로 일시적인 안일만을 구차하게 취하는 것을 말한다. 사종(嗣宗)은 진(晉) 나라 완적(阮籍)의 자(字)이다. 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 “군자가 이 세계 안에 처하는 것이 어찌 이가 잠방이 속에 틀어박혀 있는 것과 다를 것이 있으랴.”고 하였다.
❏ 사종백[嗣宗白] 사종은 진(晉) 나라 때 죽림칠현(竹林七賢) 가운데 한 사람인 완적(阮籍)의 자이다. 완적은 본디 예의를 숭상하지 않아, 자기 모친상을 당했을 때 친구 혜희(嵇喜)가 예모를 갖추어 조문을 가자, 완적이 불쾌하게 여겨 그를 백안(白眼)으로 보았고, 그 후 혜희의 아우 혜강(嵇康)이 술과 거문고를 가지고 왔을 때는 완적이 크게 기뻐하여 그를 청안(靑眼)으로 보았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四十九>
❏ 사종비[嗣宗悲] 세상 떠난 벗에 대한 추억이 간절해지리라는 말이다.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진(晉) 나라 왕융(王戎)이 황씨(黃氏)네 술집을 지나가면서 “내가 옛날 완사종(阮嗣宗)과 혜숙야(嵇叔夜)와 함께 여기에서 질탕하게 마시며 노닐었는데, 이제 그들이 죽고 난 뒤에는 내가 그만 세상에 얽매어 꼼짝 못 하는 신세가 되었다.”고 하였다 한다. <晉書 王戎傳>
❏ 사종비달사[嗣宗非達士] 진(晉)나라의 완적(阮籍)의 자가 사종이다. 그는 세상일을 피하노라고 술을 많이 먹고 취한 것으로 세상을 속였다. 그는 가다가 길이 막히면 통곡하고 돌아왔다 한다.
❏ 사종현우[四從賢友] 어진 벗을 좇음을 깊이 생각한다. 곧 여러모로 검토하여 현명한 친구와 상종한다.
❏ 사주[社酒] 봄 가을 사일(社日)에 토지신(土地神)에 제사를 지내고 모여서 마시던 술이다.
❏ 사주[史籒] 선왕 때의 태사(太史). 그가 대전(大篆)을 만들었기 때문에 대전을 일명 주문(籒文)이라고도 한다.
❏ 사주[賜酒] 임금이 신하에게 술을 내리는 것인데, 으례껏 술을 내리는 것을 ‘사주’라 한데 반해, 술과 함께 내찬(內饌)을 별도로 내리는 것을 ‘선온(宣醞)’이라 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책[射策]~사천[史遷]~사천[槎川] (0) | 2015.12.10 |
---|---|
사진[謝榛]~사진당유조장군[寫眞儻有曹將軍]~사차불후[死且不朽] (0) | 2015.12.10 |
사지당몽[謝池塘夢]~사지오등[死之五等]~사직지신[社稷之臣] (0) | 2015.12.09 |
사중우어[沙中偶語]~사지[謝池]~사지금[四知金] (0) | 2015.12.09 |
사주문[史籒文]~사준성경당여제[事遵誠敬當如祭]~사중상호[紗中像護] (0) | 2015.12.09 |
사족[蛇足]~사족실배[蛇足失杯]~사종[思宗] (0) | 2015.12.09 |
사조별[四鳥別]~사조산[謝朓山]~사조위성증만리[射鵰威聲曾萬里] (0) | 2015.12.08 |
사조[謝眺]~사조[射鵰]~사조구[謝眺句] (0) | 2015.12.08 |
사제동행[師弟同行]~사제조슬[仕齊操瑟]~사조[姒姚] (0) | 2015.12.08 |
사정[砂井]~사제[社祭]~사제갈주생중달[死諸葛走生仲達] (0) | 2015.12.08 |